|
이어 “민주당의 위기는 ‘조국 사태’ 때가 아닌 2019년 말과 올초였다. 일본 수출 규제 분위기가 희석이 됐고 자유한국당 막말이 어느 정도 잠잠해 진 상황에서 통합이 이뤄진데다 선거법하고 공수처법을 강행 통과시킨 모양새가 돼 버렸던 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이 전 위원장은 “지지도 뿐 아니라 후보의 특성, 지역 유권자의 선택 기준 등을 교차 분석해 후보들을 적절히 지역에 배치했다”면서 “서울 동작을은 그렇게 어려운 지역이라고 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에서 떨어진 분에게 이런 이야기를 해서 미안하지만 (나경원 의원은) 소위 ‘국민 밉상’이 돼있더라”며 “나경원 후보의 지지도 폭이 제한돼 있어서 적절히 각이 설 수 있는 후보면 되겠다고 판단해 이수진 전 판사를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전 위원장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나선 광진을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어지간한 후보가 가선 쉽지 않겠다고 판단해 전략공천도 가장 늦게 했다”며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 투입지역을 늦게 결정내린 배경을 설명했다.
또 긴급재난지원금 해법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이 전 위원장은 “선거 때 했던 것 그대로 잘 풀어가야 한다. 야당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와서 말을 바꾸면 총선 불복으로 비칠 것이다. 정부, 특히 기재부도 전국민에게 주느냐 70% 주느냐 하는 이 논란인데 그 부분은 단지 3조원 정도 차액에 해당하는 돈 문제가 아닐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철학의 문제인데 기재부가 그걸 고집한다는 것은 사실 기재부가 정치를 하는 것”라며 “기재부가 정치를 해선 안 된다. 어디까지 이런 문제는 국회에서 정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