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역교통개선대책 집행 체계가 부실하다는 게 대광위가 진단한 원인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개발사업시행자가 입주민에게 광역교통분담금을 거둬놓고도 중앙·지방정부와 협의 과정에서 집행을 차일피일 미루있다. 중앙·지방정부 지원사업도 산발적으로 집행하면서 주민 체감도도 떨어지고 있다.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완료된 곳도 교통난을 겪긴 마찬가지다. 김포 한강지구는 2019년 대책 집행이 마무리됐지만 ‘지옥철’과 교통체증에 시달리고 있다. 한강지구 인근 지역을 개발하면서 대책을 수립할 때 예측했던 것보다 수요가 더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광위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특별대책지구를 지정, 교통대책을 보완한다. 단기적으로 광역버스 신설·전세버스 투입 등을 추진하고 철도 등 중·장기 교통사업도 집행 속도를 높인다. 3기 신도시 등 아직 입주를 시작하지 않은 지역은 사업별로 완료 시점을 명확히 한다. 개선대책은 9월 수원 호매실지구와 화성 동탄2지구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차례로 발표한다.
한강지구 등 개선대책이 완료된 지역도 보완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대광위는 광역버스 노선 개편,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이용자 수요에 맞춰 운행 시간과 노선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교통수단) 투입 등을 보완 방안으로 들었다.
광역교통제도 자체도 손 본다. 사업 시행자와 중앙·지방정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은 확보한 재원부터 먼저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광역교통개선대책 지연으로 생긴 광역교통분담금 이자도 보완사업에 사용하는 것이 유력하다. 문제는 재원마련이다.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지연되는 가장 큰 이유가 재원이기 때문이다. 손의영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명예교수는 “우선 재원 확보가 안 되는 게 광역교통망 확충에 가장 큰 문제다. 교통대책을 세워놓고도 서로 돈을 안 내려고 하는 과정에서 사업이 계속 미뤄진다”며 “충분한 재원 확보 방안을 세워놓은 광역교통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도 난관이다. 철도 등 대형 인프라 사업은 사전에 예타 심사를 거쳐야 한다. 인프라 사업에서 가장 넘기 어려운 관문으로 꼽힌다. 예타 문턱을 넘지 못해 사업이 축소되거나 지연되는 일이 부지기수다. 대광위 관계자는 “예타 운영 개선 방안을 기재부와 협의 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