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상 원자력발전소는 원전사고 발생 시 외부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5겹의 방벽을 설치한다. 1단계 핵연료 펠릿, 2단계 핵연료 피폭관, 3단계 원자로 용기, 4단계 격납 건물 철판, 5단계 콘크리트 격납 건물이다.
이중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중대 사고가 발생하면 4, 5단계인 격납 건물이 방사성 물질의 누출을 막는‘최후의 보루’역할을 한다. 이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5단계 격납건물에서 콘크리트 공극이 발생했다.
한수원‘원전 격납건물 공극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원전 격납건물에서 발견된 공극은 332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9월 기준 295곳보다 37곳이 더 확인된 것이다.
특히 2016년 준공해 상업운전을 시작한 신고리3호기에서도 49.5cm의 공극이 발견됐다. 공극이 추가로 발견된 곳은 한빛2호기 3곳, 한빛4호기 19곳, 한빛5호기 1곳, 고리3호기 5곳, 고리4호기 3곳, 신고리3호기 2곳, 한울2호기 1곳, 한울5호기 2곳, 한울6호기 1곳 등 총 37곳이다. 특히 최근에 지어진 한울5호기(2004년), 한울6호기(2005년), 신고리3호기(2014년)의 추가발견은 큰 문제이다.
또한 원전안전의 4단계인 격납건물 철판(CLP)도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CLP부식이 10호기, 1,605개소가 발견되었으며, 기준두께(5.4mm)미만도 14호기, 17,466개소로 밝혀졌다.
최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격납건물 공극 발생 원인은 부실공사 때문이라는 결과를 발표했다. 추가로 발견된 각 원전별 공극도 부실시공에 대한 가능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이장섭 의원은 “후쿠시마 원전사태를 보면 원전안전은 완벽의 완벽을 기해야 한다. 작은 균열이 큰 재앙을 만들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며 “발견된 원전에 대해 조속히 보수공사를 하고 철저한 전수조사를 통한 원인규명과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