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1’은 중국과 알바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등 중·동부유럽 16개 국가 간 무역과 투자를 늘리는 등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2012년 출범했다. 2019년 그리스의 가입으로 ‘17+1’이 됐고, 지난해 발트3국 중 리투아니아가 지난해 탈퇴하면서 다시 ‘16+1’으로 돌아왔으나,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까지 떠나 ‘14+1’로 줄어들게 됐다.
SCMP는 “발트3국의 중국에 대한 의구심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한계 없는 우정’을 선언한 이후 더욱 확산됐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장기간 제정 러시아 및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독립국이 됐으며,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지리적으로 가까운 발트3국의 대(對)러시아 긴장도가 높아지면서 우크라이나에 이은 제2의 화약고가 될 수 있다는 예측까지 나왔다.
정치학자이자 정책연구가인 사라 크렙스 코넬대 교수는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일으킨 전쟁,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대만해협의 군사적 긴장관계는 많은 나라들이 냉전 시대처럼 특정 진영을 선택하도록 만들고 있다”면서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는 그들이 민주주의 진영에 있다는 것을 아주 분명하게 전달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발트3국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존스홉킨스대의 앤드류 메르타 중국학부장은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의 움직임은 지정학적으로 어느 쪽인지 선언하면서도 중국 정부에 문호를 개방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면서 “두 나라는 중국과 협의체에서 탈퇴했지만 중국과 ‘건설적이고 실용적인 관계’를 추구한다고 말했듯,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