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문영재 기자] 국내 유전자변형(GMO) 농산물 관리시스템이 총체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정의당 김제남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사료용 GMO 농산물은 농식품부가 관리하고 식품용 GMO 농산물은 식약처 소완업무로 이원화돼 농산물과 식품 관리시스템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수입검사과정에서 단순히 수입물량에 대해서만 전산관리가 돼 수입금액은 알 수 없고, 회사에 대한 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공개되지 않아 소비자의 알권리도 침해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3년 7월말까지 수입한 사료용 목화씨는 총 35만6098톤, 배합사료는 485톤, 사료용콩(2011년)은 129톤에 달했다. 그러나 수입액 규모·업자는 공개되지 않았다.
특히, 지난 2008년 이후 사료용 GMO 수입업자가 국내 운반, 가공 과정에서 도로변이나 가공공장 주변에 비의도적으로 환경방출된 옥수수, 면실유 등 낙곡이나 자생식물체가 발견돼 형사고발된 사례도 30개소에 달해 사후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정비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김 의원은 또 GMO 농산물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CJ제일제당(097950), 대상(001680), 삼양제넥스(003940), 사조그룹 등 4대 기업이 생산·판매하는 전 제품에서 GMO표시 제품이 전무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행 GMO 표시제도는 원재료 5순위 이내 제품, DNA 또는 외래 단백질이 남아있는 제품에만 GMO 표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는게 문제”라며 “기업은 이를 악용해 원재료 5순위 이내에 GMO가 포함되지 않게 사용하고 식용유나 간장 등 형태의 식품에 GMO를 사용해 표시제도를 무력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소비자의 불안감과 먹거리 위험환경을 해소하기 위해서 GMO 원재료를 기준으로 하는 GMO 완전표시제를 도입하고 GMO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싱글남녀 ‘인연 만들고 요리도 배우는 쿠킹클래스’
☞CJ ‘팻다운 아웃도어’ 다이어트 트렌드 바꾼다
☞CJ 쁘띠첼, 푸딩으로 디저트 시장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