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작년 전국 연안해역 방사능 농도 조사 결과
"반감기 짧은 세슘-134 미검출…신규 유입 없는 듯"
韓 시찰단, 3박4일 일본 방문…"전반 안전성 검토"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방사능 농도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2011년 3월 이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반감기가 짧은 핵종이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지 않는 등 최근 새로 유입된 방사성 핵종은 없는 것으로 추정했다.
| 지난 3월 18일 제주시 용담동 해안도로에서 관광객들이 바다를 보며 여유롭게 산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해수부는 연안해역 52개 조사정점에서 해수, 해저퇴적물, 해양생물을 대상으로 방사능 농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해수부는 2021년 39개소이던 해양방사능 조사정점을 2022년 45개소, 올해는 52개소로 확대했다.
전국 해역 해수 중 세슘-137의 농도는 2011년 이전에는 리터(ℓ)당 0.00119(최소 검출 가능 농도 미만)~0.00404베크렐(㏃)이었다. 지난해 조사 결과 2015~2022년에는 리터당 평균 0.00054~0.00363㏃이었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역별 특성이나 경향은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반감기가 약 2년으로 짧은 세슘-134가 모든 지점으로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최근 새로 유입된 방사성 핵종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반감기는 방사성 핵종의 50%가 붕괴되는 시간으로, 세슘-137과 삼중수소의 반감기는 각각 30년, 12년이다. 플루토늄-239의 반감기는 반감기가 2만4100년이나 된다.
| 전국 해역 해양방사능 측정 결과.(자료=해수부) |
|
한편 오는 여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한국 시찰단이 현장을 방문할 예정이다. 일본과 한국 측은 지난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회의를 열고 시찰단 일정을 당초 하루나 이틀에서 나흘 일정으로 합의했다. 정부는 시찰단 규모를 전문가 20여명 정도로 구상하고 있다.
한편 우리 정부 측은 이번 시찰단 활동을 방류 과정 전반에 걸친 안전성 검토라고 했지만, 일본 측에서는 시찰탄이 평가나 검증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라 양측 입장이 엇갈렸다.
정부는 3박 4일 일정에 대해 일본과의 후속 협의를 열고 전문가 규모와 시찰 규모, 대상 등 자세한 내용에 대해 추후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