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김 의원은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2011년도 일본 원전사고 후 후쿠시마 주변 8개 현에는 수입이 금지되어 있는 상태”라며 “사고가 있기 전에는 국내에 일본산 수산물이 1년에 8만 4000톤 정도, 작년에는 3만5000톤 정도 여전히 많이 수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 통계를 보니까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거나 허위로 표시해서 국내산으로 속여서 파는 사례가 많이 적발됐다”며 “박근혜 정부 때 위반 사례가 특히 많았고 올해 와서는 꽤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나라는 1년에 수산물 78.5kg를 소비하는 세계 1위 소비 국가다. 일본과 노르웨이 보다 많이 소비한다”며 “농산물 품질 관리를 하는 인력은 전국에 1100명, 수산물은 250명밖에 없어 단속 인력이 부족하다”고 말하며 우려했다.
김 의원은 “허위로 표시된 것이 적발된 사례가 이런 (숫자인)거지 얼마나 더 많이 되고 있는지는 아직까지 확인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거나 일본산을 국내산으로 속여 파는 사례는 지난 2014년 41건에서 2015년 87건, 2016년 109건으로 껑충 뛰었다. 이후 감소세를 보여 2017년 59건, 2018년 53건 적발됐다.
일본산을 국내산으로 속여 파는 어종은 활가리비가 49건으로 가장 많았고, 활돔(참돔) 19건, 활우렁쉥이(멍게) 12건, 냉장갈치 10건, 냉장명태와 홍어 각 7건, 활장어(먹장어) 6건, 가리비젓 5건, 냉동갈치와 방어 각 4건이 뒤를 이었다. 금액으로 보면 활장어(먹장어)가 4억7215만원으로 가장 많고, 냉장명태가 3억5244만원으로 두 번째다.
일본산이라는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은 사례도 활가라비가 85건으로 가장 많았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활뱀장어·냉장명태·활가리비를 ‘연간 중점 품목’으로 정해 원산지 표시 위반 여부를 집중 점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