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6일 발간한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돼 의료체계 부담을 심화시키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고 감염 통제와 사회기능 유지 사이 균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11일 보츠와나에서 최초 발견된 오미크론 변이는 이달 17일 기준 최소 161개 국가에서 발견되는 등 빠르게 확산하며 우세종으로 변하고 있다. 기존 델타 변이에 비해 전파력이 더 크고 기존 감염이나 백신 면역 효과를 일부 회피하지만 중증·사망으로 발전할 확률은 낮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전파력이 높아 감염의 절대 규모가 커질 경우 의료 체계에 부담을 더 많이 줄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이다.
주요국의 대응 정책을 보면 미국의 경우 지난달 2일 새로운 조치를 발표했다. 성인 3차 접종(부스터샷)과 아동청소년 기본 접종을 확대하고 경구용 치료제 조기 공급, 자가검진 키트 공급을 확대했다. 확신자·접촉자가 대량 발생함에 따라 자가격리 기간은 10일에서 5일로 줄였다.
기존 직장 폐쇄, 이동제한, 휴교 등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는 최소화하고 백신 접종과 주기적 접종으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다..
영국은 지난달 8일부터 거리두기 정책을 일부 강화했지만 이전보다는 강도가 약한 편이다. 일정 규모 수용인원을 초과한 행사·장소에 한정해 백신패스를 적용하고 확진자 격리기간은 두차레에 걸쳐 10일에서 5일로 단축했다.
일본은 확산이 심각한 일부 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를 높이고 외국인 전면 입국금지 조치를 연장했다. 백신 접종과 코로나19 검사 확대를 지원하는 한편 의무 격리기간은 단축했다.
|
KIEP는 오미크론 감염 통제 노력을 지속하는 가운데 위험군 우선 관리, 밀접접촉자 범위 조정, 격리기간 단축, 검사 수단 다양화 등 다양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기존 검사-추적-격리 체제로는 오미크론 확산을 막는 데 한계가 있고 오히려 무증상·경증 환자의 사회활동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무증상 확진자나 백신을 접종한 밀접접촉자는 격리기간을 5~7일로 단축하거나 면제하고 고위험군 위주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백신 접종자 여행 제한 면제와 백신패스를 통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 백신 접종자 우대도 필요하다.
다만 한국도 이달 14일 오미크론 대응전략을 발표해 주요국 수준의 방역 전환을 준비 중이다.
KIEP는 격리기간을 단축하거나 신속항원검사를 폭넓게 활용할 경우 감염 통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사회기능 유지와 감염 통제 사이 균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장영욱 KIEP 선진경제실 부연구위원은 “기존 대규모 유행에 대한 경험이 없는 우리나라는 감염 급증에 대한 혼란이 해외보다 더 클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달라진 방역 체계에서 자발적으로 감염 위험을 줄이는 방안의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