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삼일PwC가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순환경제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순환 경제로 전환하면 GDP가 3398억 달러(1.1% 순 성장) 증가하고, 신규일자리 1만5000개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7.2% 감소했다.
한국은 중국과 대만처럼 제조업과 재활용 산업이 발달해 순환경제로 상당한 변화를 겪으며 순환경제 도입 시 GDP의 30% 이상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
순환경제는 단순 재활용 뿐만 아니라 공급망의 전과정에 걸쳐 새로운 디자인과 재료 대체, 수리를 포함한 개입을 통해 제품 수명을 연장하는 경제 방식이다.
보고서는 “순환경제의 영향이 큰 국가들은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순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순환경제 전략은 국가별 특성과 상황에 맞게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순환경제 도입 시 가장 높은 잠재력을 가진 분야는 유지보수운영(MRO), 재활용, 건설업 순이다. 반면 순환경제 도입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야는 광업·채석업, 석유화학·비금속 광물, 금속·장비 제조 분야로 나타났다. 이 분야는 순환경제 도입으로 생산 방식이 변하면서 탄소배출량이 감소하는 환경적 이점을 얻지만, GDP 및 고용 부문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산업별 적합성, 잠재적 영향,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도입 및 실행 능력을 고려한 다섯 가지 순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했다. 이 모델은 재생 가능한 소재를 사용해 자원 소비를 줄이고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순환 공급’, 폐기물을 회수해 재사용하는 ‘자원 회수’,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통한 ‘제품 수명 연장’, 여러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공유하는 ‘공유 경제 모델’, 고객이 제품을 소유하지 않고 사용료만 지불하는 ‘제품의 서비스화’ 등으로 구성됐다.
스티븐 강 삼일PwC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플랫폼 리더는 “순환경제 채택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순환경제 도입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정부와 기업, 사회 모든 구성원의 합의와 노력이 필요한 시기”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국가와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제와 산업 구축에 집중하면 새로운 변화를 이끄는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