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쌀가루로 밀 수요 대체…쌀 수급안정도 도모”

이명철 기자I 2022.06.09 11:16:03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 발표
밀 자급률 0.8%→2027년 7.9%…식량자급률도 제고
밀·분질미 이모작 재배…쌀 가공식품 수요기반 확대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세계적인 공급망 차질로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밀의 수급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벼농사 풍년으로 가격이 떨어지고 정부가 수매에 나서는 등 과잉 공급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밀의 낮은 자급률과 쌀 수요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쌀가루를 활용한 가공산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8일 브리핑을 열고 “쌀 가공식품 범위를 넓히고 수입에 의존하는 밀가루 수요 일부를 쌀로 대체하기 위해 가공 전용품종인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쌀은 밀과 달리 물에 불려야지만 가루를 만들 수 있어 밀가루 대용으로 쓰기엔 한계가 있다. 정 장관이 농촌진흥청장 재임 시절 개발한 분질미는 건식 제분이 가능하고 전분 손상이 적어 밀가루를 대체하는데 유리하다는 게 농식품부 설명이다.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분질미 20만t을 공급해 연간 밀가루 수요인 약 200t의 10%를 대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당초 2027년 밀 자급률 목표 7.0%도 7.9%로 상향 조정했다. 2020년 기준 밀 자급률은 0.8%에 불과하다.

지난해 기준 분질미 재배면적은 25ha, 생산량 119t인데 2026년 4만2000ha, 20만t까지 늘릴 계획이다.

내년부터 공익직불제 내 전략작물직불제 신설을 추진해 참여 농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밀 전문 생산단지 중심으로 밀과 분질미 이모작 체계를 구성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품종·재배기술을 개선하고 농가의 재배를 지원한다.

정 장관은 “식량 자급률을 높일 방법은 이모작 도입밖에 없다. (국내 경작면적) 150만ha의 30%만 (이모작을) 해도 200만ha를 재배해 식량자급도를 높일 수 있다”며 “밀은 6월 중순에 수확하는데 분질미 이앙 적기가 6월 25일로 이모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 기대 효과. (이미지=농식품부)


정부는 매년 3~5월 농가별로 분질미 매입 계약을 체결하고 수확기에 공공비축미로 매입, 업체들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쌀가루를 활용해 소비 가능한 제품도 발굴·육성한다.

올해 CJ제일제당·농심미분·농협오리온 등에 분질 쌀과 쌀가루 1t을 제공해 특성을 평가하고 내년에는 100t을 공급할 계획이다. 중장기로 대량제분, 저장 등 유통에 필요한 기술개발과 시설 지원도 확대한다.

정 장관은 “식품업계서는 케이크·과자류와 밀가루 함량이 낮은 어묵·소시지 등이 쌀 전용 품목으로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며 “소면이나 우동면 등 면류, 발효빵류도 물리적으로 가능하고 튀김가루, 만두피 등은 혼합하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다”고 전했다.

쌀 가공식품의 소비 기반을 넓히는 것이 결국 가장 중요한 사안이다. 농식품부는 생산자·소비자·업체·전문가가 참여하는 쌀가루 산업 발전협의체(가칭)를 운영할 방침이다.

밀·보리 등에 함유된 글루텐이 담기지 않은 글루텐프리 등 쌀 가공식품 특화 식품인증제도를 홍보하고 쌀의 기능성 식품 원료 등록도 추진한다.

학교·공공기관 등에 쌀가루 가공제품 공급을 늘리고 홍보·마케팅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정 장관은 “식량자급률이 46%선까지 내려갔는데 2027년 52.5%로 높이고 쌀 수급 균형을 달성하겠다”며 “쌀 생산액은 6000억원 정도 증가해 농가 소득은 매년 3000억원 이상 증가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