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3분기 지역경제보고서(골든북)에 따르면 기업체 10곳 중 4곳은 내년 이후 유지·보수를 제외한 신규 설비투자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5개 한은 지역본부(강남본부 제외)가 8월 11일부터 9월 2일까지 전국 369개 업체(제조업 233개, 서비스업 136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다.
|
절반 가량(46.0%)이 코로나19 이전보다 설비투자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제조업은 48.1%, 서비스업은 41.8%가 설비투자 규모 증가가 코로나 이전인 2017년~2019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컴퓨터·전자·광학기기(53.3%) 업체 중 설비투자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응답한 비중이 높았다.
기업체 3분의 1가량이(35.4%) 설비투자 기간을 3년 이상으로 내다봤다. 제조업, 서비스업은 각각 38.0%, 30.4%로 집계됐다. 설비투자 자금의 3분의 2(70.9%) 가량은 내부에서 조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기업체들이 설비투자를 하려는 이유는 업체별로 달랐다. 제조업은 주로 비용 절감(40.2%), 상품 공급능력 확충(34.6%), 신규 포트폴리오 구축(28.0%)을 이유로 제시했다.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업체들은 신규 포트폴리오 구축, 공급능력 확충을 이유로 꼽았고, 운송장비 제조업체들은 비용절감 등을 꼽았다. 화학물질·화학제품 제조업체들은 환경 규제에 대비하기 위한 투자(33.3%)라고 응답하기도 했다. 이들은 친환경 에너지 사용을 강화하거나 설비의 오염물질 저감에 주력하기 위한 것이다. 서비스업은 서비스 차별화(53.6%)를 충족하기 위한 이유가 많았다.
그 다음으로 환경 규제(29.0%)를 꼽았다. 다만 환경 규제가 설비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비율은 제조업, 서비스업 모두 20%대 초반에 그쳤다. 이는 환경규제를 이유로 설비투자를 하지는 않지만 환경규제가 설비투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많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설비투자를 계획한 기업체 중 3분의 2(76.4%)가 업황 급변을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설비투자 결정에 있어 도움이 될 만한 정책으로 투자세액공제 등 세제지원, 보조금 지원 확대, 정책자금 제공 확대 등 금전적인 지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