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청이 15일 발표한 올 2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을 보면 올 2월 대 중국 수출액은 95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3% 감소했다. 대 중국 월별 수출액으로는 2016년 2월(86억4000만달러) 이후 3년 만에 최저다. 추세적으로도 지난해 11월 이후 4개월 연속 감소를 이어가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전년보다 42.4% 줄고 석유제품과 액정디바이스도 각각 33.8%, 45.8% 감소했다. 무선통신기기 수출이 12.0% 늘어나는 등 일부 업종은 선전했으나 전체 감소 흐름을 막진 못했다.
|
올 2월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은 394억3500만달러(약 44조7700억원)로 1년 전보다 11.4% 줄었다. 앞선 1일 발표한 속보치(395억6000만달러)에서 소폭 하향 조정되면서 감소 폭도 11.1%에서 11.4%로 더 커졌다.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이고 감소 폭도 더 커지고 있다.
중국 성장세 둔화 여파다. 중국은 지난해 경제성장률 6.6%로 1990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전까진 세계 경제성장의 ‘엔진’ 역할을 해 왔으나 최근 저성장으로 고전하고 있다. 지난해 불거진 미·중 무역갈등도 한몫 거들었다.
무역 측면에서만 보면 현 상황은 우리에겐 2017년 사드 보복 때보다 더 나쁘다. 우리의 대 중국 수출액은 사드 보복이 절정에 이른 2017년에도 1421억달러로 전년보다 14.2% 증가했다. 중 정부는 당시 유통·여행 등 일부 부문에서 보복 조치를 했지만 막상 주요 수출 품목은 건드리지 않았다. 우리 수출 품목이 대부분 핵심 부품이거나 중간재였던 만큼 제재 땐 자국 산업 피해가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중국 성장세 둔화의 여파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도 최근 중국과의 거래비중이 큰 기업이 고전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
사드 때와는 달리 우리가 직접 손 쓸 수 있는 수단도 많지 않다. 미 블룸버그통신은 14일(현지시간) 미·중 무역분쟁 완화를 위한 협상의 3월 타결이 불발되고 빨라야 4월 말에나 이뤄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정부는 이달 4일 당장 자금 흐름이 어려운 기업 지원을 위해 무역금융 규모를 235조원까지 늘리는 동시에 수출 다변화를 꾀하는 수출활력 제고대책을 발표했다. 현 정부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신북방 정책과 아세안(동남아), 인도를 겨냥한 신남방 정책을 내세웠다. 문재인 대통령은 현재 10~16일 일정으로 동남아 3개국을 순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