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은 발병률이 높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예후가 좋은 편이다. 통계에 따르면 2001~2012년 수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 중 0기 환자의 10년 전체생존율은 95.4%에 달하며, 1기 환자 또한 92.7%나 된다. 반면 3기에 들어서면 63.4%, 4기는 22.2%로, 말기에 도달할수록 생존율이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 여성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치밀유방’이 조기진단 및 치료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모유 만들어내는 실질조직 비중이 50% 넘으면 치밀유방으로 분류…유방암 발병 확률 4~6배 높아져
유방은 크게 모유가 만들어지고 이동하는 유선이나 유관 등이 속하는 ‘실질조직’과 이를 둘러싼 ‘지방조직’으로 구성된다. X선을 활용한 유방촬영술에서는 실질조직의 비중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총 4단계로 구분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유선조직이 각각 50%, 75%를 초과하는 3~4단계를 치밀유방이라 부른다.
문제는 치밀유방이 유방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먼저 치밀유방은 유방촬영술을 활용한 유방암 진단에 어려움을 준다. X선 촬영 시 유방 내 지방조직은 검게 투과되는 반면, 암이나 양성종양은 하얗게 나타나므로 이를 토대로 유방암 여부를 진단하게 된다. 그런데 실질조직이 밀집돼 있으면 X선이 실질조직을 투과하기 어려워 암이나 양성종양처럼 하얗게 표시된다. 이로 인해 유방 내 종양을 발견하기 어려워진다.
또다른 문제는 치밀유방 자체로 유방암 발생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질조직이 75% 이상을 차지하는 4단계의 고밀도 치밀유방을 보유한 여성은 실질조직이 10% 미만인 저밀도 유방을 가진 여성에 비해 10년 내 유방암 발병 확률이 4~6배 가량 높다. 국내에서도 중등도, 고밀도 치밀유방이 유방암 발병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진 연구들이 있다.
일산차병원 유방센터 박소은 교수는 “유방암은 지방조직이 아닌 유방 내 실질조직에서 발생하는데, 치밀유방의 경우 유방실질을 구성하는 세포의 수가 많고 호르몬과 성장인자에 노출되는 양이 더 많이 누적되어 그만큼 유방암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유방촬영술 민감도 떨어지는 치밀유방, 상대적으로 민감도 높은 유방초음파 등 병행해 정기적인 검진 시행해야
치밀유방은 해외에 비해 국내 여성들에서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경우 40대 여성 중 치밀유방의 비중은 46% 안팎인데, 우리나라는 약 1.5배에 달하는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치밀유방과 유방암 간 연관성이 높은 만큼, 국내 여성들은 지속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발견에 집중해야 한다. 유방암 환자 비중이 가장 높은 40대 이상 여성이 치밀유방을 보유했다면, X선을 활용한 유방촬영술에 더해 유방초음파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방초음파검사는 치밀유방에서도 검사 민감도가 높아 X선으로 발견하기 어려운 유방암 병변을 찾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으며, X선은 유방초음파검사로는 발견할 수 없는 미세석회화 암을 발견할 수 있어 두 검사 모두 시행할 경우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기적인 검진이다.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 대비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19%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소은 교수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유방암을 발견하면 증상이 나타난 후 진단된 유방암에 비해 치료 예후도 좋고 치료 후 생존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40대 이상 여성은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기적인 영상검진을 시행하고, 30대 이전이라도 집안에 유방암 환자가 있거나 유전자 검사를 통해 BRCA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등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유방초음파 등 정기검진을 통해 증상을 일찍 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