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이 회장은 내년 상반기쯤 시장이 원하는 방식으로 민영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의지를 보인 반면 국민주에 반대하고 있는 김 위원장은 구체적인 일정과 매각방식은 정해진 바 없다며 이 회장의 발언을 일축했기 때문이다.
|
구체적인 민영화 방식에 대해서도 그는 “(자회사) 분리매각이나 금융지주회사법령 등을 개정하는 방법은 어려울 것”이라며 “시장이 환영하는 방식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의 이같은 발언은 국민주 방식의 민영화를 염두에 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제로 그는 우리사주조합이 인수하는 방식은 자금이 없어 불가능하다면서도 국민주 방식에 대해선 특별히 부인하지 않았다.
반면 김 위원장은 이날 같은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공자위원들과 구체적인 시기와 방식을 상의해서 결정해야 한다”며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금융당국과 예금보험공사 역시 아직 우리금융 민영화 준비작업에 착수하지 않은 상태다. 예보 관계자는 “새로 구성된 공자위원들과 이제까지의 민영화 방안을 공부하고 있는 단계”라며 “아직 민영화 일정은 나온게 없다”고 설명했다.
|
김 위원장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차원에서 경영권 프리미엄을 챙기는 것은 물론 인수 후 우리금융을 제대로 키울 수 있는 확실한 주인에게 경영권을 넘겨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올해 우리금융 매각을 주도하면서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을 바꿔 산은금융지주나 KB금융지주 등의 입찰 참여를 유도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회장이 밀고 있는 국민주 방식에 대해선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도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 회장의 생각은 다르다. 우리금융은 그 동안 국민주나 블록세일 등 뚜렷한 주인이 없는 민영화 방식을 선호해왔다. 특정 금융지주회사가 인수할 경우 기존 경영진 물갈이와 구조조정을 피할 수 없는데다 인수·합병(M&A) 후 통합(PMI) 작업도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금융위가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리금융 측이 물밑에서 강하게 저지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국 이 회장의 이날 발언은 내년 상반기에 우리금융이 원하는 방식으로 민영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 회장은 올초 우리금융 민영화의 해결사를 자처하면서 연임에 성공한 바 있어 민영화가 최우선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반면 금융권에선 내년엔 총선과 대선 등의 정치일정이 맞물려 있어 현실적으로 우리금융 민영화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다만 실제 추진 여부와는 상관없이 내년에도 우리금융 민영화는 금융권의 주요 이슈 중 하나로 떠오를 것이라는 게 금융권의 전망. 이 과정에서 이 회장과 김 위원장간 민영화를 둘러싼 이견도 관전포인트로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 관련기사 ◀
☞[단독]우리금융, 경남·광주銀에 2000억~3000억원 증자 검토
☞우리금융, 리스크관리본부장에 김준호 씨
☞이팔성 "내년 비은행부문 적극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