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지 조림복원이 자연복원에 비해 더 효율적"

박진환 기자I 2023.05.03 11:00:00

국립산림과학원, 산불피해지 복원 연구결과·미래방향 발표
조림복원 나무 키·밀도 적정한 반면 자연복원 23~90% 수준
강원 산불피해지복원시 산주의 84.6%가 소나무재조림 원해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이 3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 및 미래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복원 과정에서 인공적인 복원이 자연 복원에 비해 나무의 키와 밀도 등에서 더 효율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산불 발생 이후 산주들을 중심으로 소나무에 대한 재식재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은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을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6년 강원도 고성 산불을 계기로 1997년부터 153㏊ 규모의 장기 산불연구지를 설치·연구하고 있다. 2000년 동해안 산불 이후에는 강원 삼척에 4000㏊를 연구대상지로 추가했다. 그간 산불피해지 장기연구지에서는 조림복원과 자연복원 등 복원방법과 산불피해 정도에 따른 숲의 변화를 밝히기 위해 산림생물, 토양, 수자원, 복원체계 개발 등을 연구했다. 연구 결과,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 초기 생존율은 1년 후 평균 소나무 89%, 활엽수 53% 등으로 소나무의 조림 복원 효과가 매우 우수했다. 소나무의 높은 생존율은 산불피해지와 같은 척박한 토양에서 소나무가 잘 자란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 복원 시 산림소유자의 84.6%는 송이 생산 등을 이유로 소나무 조림을 원했다. 다만 산불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민가나 문화재, 발전 시설 등 주요 시설 주변의 소나무림을 불에 잘 견디는 활엽수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산불 발생 20년 후의 숲과 토양의 회복력 등을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고성 산불피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 숲의 회복은 조림복원지가, 토양의 회복은 자연복원지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림복원지의 소나무는 강원지방 소나무 평균 키의 85~130%였고, 적절한 밀도를 유지했다. 반면 자연복원지의 신갈나무는 신갈나무 평균 키의 23~90%였고, 입지(자라고 있는 땅)에 따라 키와 밀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토양의 경우 조림복원지와 자연복원지 모두 산불 발생 후 2~3년이 지나면서 유기물과 양분이 서서히 증가했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후에도 조림복원지는 미피해지에 비해 유기물은 32%, 양분은 47%, 자연복원지는 각각 47%와 63%로 낮았다. 토양 유기물과 토양 양분의 회복률은 자연복원지가 조림복원지보다 각각 1.5배, 1.3배 높았다. 대형산불 피해지 복원은 피해지 조사, 응급복구, 항구복원의 3단계 과정을 거친다. 응급복구는 산사태, 토사유출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실시하고, 항구복원은 산림의 6대 기능과 피해지의 회복 가능성 등을 고려한 복원계획 수립 후 진행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불피해지의 유형에 맞게 복원기준을 탄력성 있게 개선하고, 결정 체계를 자동화해 의사결정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산불피해지 복원 지침을 개선할 예정이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산불피해 장기 모니터링과 기술 개발로 산불에 강하고 경제·사회·환경적 가치를 반영하는 산림복원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