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동욱 기자]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진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의 정상화 방안으로 2600억원의 자금을 긴급 지원키로 했다. 대신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와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 이사회의 경영구조를 변경해 코레일과 일부 출자사 중심으로 개편키로 했다. 코레일이 자금을 대는 대신 사업을 직접 주도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코레일은 15일 서울 중구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총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상화 방안을 제시했다. 코레일은 연말까지 CB(전환사채) 2600억원을 발행키로 했다. 이렇게 되면 지난 12일 만기 도래한 52억원을 갚지 못해 부도를 낸 자산유동화증권(ABCP) 원금 2000억원과 6월까지 차례로 돌아오는 대출 이자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코레일 관계자는 “2600억원을 조달해 부도를 피하면 7개월 동안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게 된다”며 “신용도가 높은 코레일이 직접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금융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대신 코레일은 삼성물산에 1조4000억원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을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 시공사 선정 시 삼성물산이 투자한 688억원은 돌려주는 조건이다. 또 10조원 규모 공사 물량에 대해 당초 출자사가 시공권을 전액 보장받았지만 이 비율을 20%로 낮추기로 했다. 나머지 80%는 공개 입찰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민간출자사들에게 기득권을 포기할 것을 요청한 셈이다.
코레일은 드림허브와 용산역세권개발㈜ 이사회도 장악한다. 드림허브 이사회 이사 10명 중 5명, 용산역세권개발 이사 7명 중 4명은 코레일 자사 임원으로 채울 예정이다.
앞으로 사업 재개 여부는 출자사들에게 달려 있다. 이날 총회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이번에 코레일이 마련한 방안을 보면 민간출자사들의 입지가 너무 나빠진 것 같다”고 말했다.
코레일은 이달 25일 최종 합의서안을 배포하고 출자사들은 내달 1일까지 동의 여부를 전달해야 한다. 이번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은 최종 파산 수순에 돌입하게 된다. 사실상 내달 1일에 사업 진행 여부가 판가름 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