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매년 여성의학과, 소아과 방문자가 줄고 어린이집과 유치원 폐업이 늘어난다. 구매인구 감소로 내수산업은 위축되고 부동산도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것”이라며 “초저출생의 원인은 여러 가지겠지만 근본 원인은 절망적인 미래다. 먹고 살 걱정을 없애는 것이 우선이고, 기본적인 삶이 보장되어야 노후와 미래 불안이 사라진다”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 전반의 돌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동수당 확대와 아버지에 대한 육아휴직 할당, 신혼부부 주택지원, 기초노령연금 확대 등이 이 대표가 제시한 해법이다. 아울러 동거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이른바 ‘생활동반자제’ 도입 논의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시장만능주의에 빠진 각자도생사회가 아니라 기본적 삶이 보장되는 나라를 만들어야 초저출생이나 인구문제 해결의 단초도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
윤 대통령은 “지난 16년 동안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해 280조원의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올해 2분기 출산율은 0.75명까지 급락했다”고 문제의 심각성을 언급하며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저출산고령화위원회를 전면 개편해 콘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과 제1 야당의 당수가 연일 인구 문제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이유는 최근 통계에서 급격한 인구 감소가 예상되는 경고음이 들어왔기 떄문이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960년 6.0명에서 1976년 3.0명, 1983년 2.06명으로 감소했다. 이어 2018년 1.0명 밑으로 떨어진 뒤 지난해 세계 최저인 0.84명을 기록했다. 올해 2분기에는 0.75명으로 더 떨어졌다.
반면 우리나라의 평균 연령은 급격히 오르고 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고령층(55~79세)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5월 기준 고령층 인구는 1509만 8000명을 기록, 사상 처음으로 1500만명을 돌파했다. 2060년대쯤에는 노년부양비(15~64살 생산가능인구 대비 65살 이상 고령인구 비중)가 100%를 넘어선다. 일하는 인구보다 부양을 해야 하는 인구가 더 많아진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