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는 전일 각각 공시와 보도자료를 통해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3조 6000억원에서 2조 3000억원으로 축소하고,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1조 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며 “회사 측 주장대로 4월에 한화에너지 대상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완료하면 2조 3000억원 증자 관련 신주 427만주 포함 총 595만주의 신주가 발행된다”고 했다.
포럼은 “이는 지난달 20일 3조 6000억원 유상증자 계획에 따른 신주 발행규모 595만주와 동일한데 어떻게 유상증자 규모가 축소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나”고 반문했다.
이어 “밸류에이션의 기준은 기존주주로, 기존주주들은 지분율이 13% 희석화되는데 소액주주들의 이익도 아니다”라며 “소액주주들 이익이란 주장이 실수인지 의도적인 왜곡인지 한화에어로 경영진과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는 밝혀야 한다”고 했다.
또 “대주주 희생이란 주장도 인정하기 어렵다”며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는 1조 3000억원 납입 댓가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약 168만주의 한화에어로 신주를 배정받을 것이다. 한화에어로가 어제 제시한 깜짝 가이던스와 3월 IR자료 예상치와 같이 고성장이 지속된다면 1조 3000억원 투자금액은 매년 복리로 높은 두 자릿수 불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포럼은 “한화에너지가 시가로 주식을 매수할 예정이고 한화에어로 일반주주들은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15% 할인된 가격으로 참여하므로 일반주주에게 약간의 배려를 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일반주주 입장에서는 주식수 증가에 따른 희석화 피해가 신주발행가 소규모 할인에 따른 이득을 압도할 정도로 크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김동관 부회장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경영진을 향해 △단독 및 연결 기준 한화에어로 현금흐름 중장기 추정치 발표 △한화에어로 이사회 의장의 독립적인 사외이사로 업그레이드 △밸류업계획 발표 및 시행을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럼은 “한화에어로의 일방적 유상증자 계획 발표 및 정정, 관계사들과의 일련의 자본거래는 지배주주인 김동관 부회장 3형제와 일반주주 간 많은 이해상충을 야기했다”며 “그 과정에서 한화에어로 이사회는 독립성을 지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 재의 요구권이 행사되었지만 멀지 않은 시기에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를 명시하는 상법개정안이 시행될 것이라 생각된다”며 “2026년에는 기습적 유상증자, 변칙적인 자본거래, 지배주주 눈치만 보는 사외이사들이 대한민국에서 사라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