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원장은 지난 3일 오후 청담에이프릴어학원 동작캠퍼스 홈페이지에 “오늘 아침 너무 황망한 사건을 접하게 되어 이에 대한 정확한 사실을 알리고 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하고자 글을 쓴다”고 시작하는 입장문을 띄웠다.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등원을 재개한 지난 1일 원생들의 셔틀버스 승·하차를 돕는 ‘셔틀 도우미’의 막말 논란이 불거졌다.
정 원장은 “셔틀 도우미 한 분이 학원으로 커피를 주문했고 그 와중에 배달 기사님에게 통화로 해서는 안 되는 비하 발언을 하는 일이 벌어졌다”며 “학원 로비나 출입문 입구에서 벌어진 상황이 아니라 학원 밖에서 개인 전화통화로 벌어진 일이기에 학원에선 이를 전혀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두 사람이 나눈 대화 녹취파일이 이틀 뒤인 오늘 커뮤니티 사이트에 올라왔고 그 글을 맨 처음 올린 분도 심지어 해당 배달기사님이나 배달대행업체 지사장님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녹취 내용 중 ‘아이들이 수업 중이다’라는 언급으로 인해, 학원 소속 강사가 한 언행으로 오해를 받고 있어 해당 사실을 바로 잡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분명한 사실은 해당 셔틀 도우미가 1일 하루 근무 후 바로 다음 날 급작스럽게 건강 악화와 개인 사정 문제로 근무 종료 의사를 통보했고, 학원에선 이에 동의해 급히 대체해줄 다른 분께 셔틀 지도 업무를 이미 맡긴 상황이다. 실제로 이 분은 저희 셔틀 도우미로서 약 한 달 정도의 짧은 기간만 근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규직원이 아닌 아르바이트에 해당하는 셔틀 도우미를 할 분을 뽑을 때조차도 원장이 직접 채용 인터뷰를 진행하고 경력 조회나 범죄 조회를 꼼꼼히 진행한 후 업무를 맡기고 있으나 이런 개인의 일탈 문제는 저희로서도 예상할 수 없는 일이었기에 매우 유감스럽다”고 했다.
|
정 원장은 “오늘 사건을 접하고 바로 배달기사님, 배달업체 대표님과도 통화를 나누었고 영어강사나 데스크 직원 등의 잘못이 아님을 전달했다”며 “해당 배달기사님께는 비상식적인 발언을 듣고 상처를 받은 점에 대해 학원의 책임 여부에 상관없이 지도편달 잘못임을 사과 드렸다”고 전했다.
그는 “배달업체에서도 사실과 다른 일들이 퍼지고 있어 영어학원이 직접적인 비난의 대상이 된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배달노조(라이더유니온)에서도 이번 사건이 동작에이프릴의 잘못이 아닌 개인의 문제이며, 작성자가 배달업체 지사장인 것처럼 올린 글을 내려달라, 학원에 대한 비난을 멈춰달라는 공식 입장문을 발표해 주셨다”고 알렸다.
그러면서 “오랜 세월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일을 해온 사람으로서 품어왔던 가치관과 인생관을 걸고 이런 마음을 가진 원장과 수년간 함께 하고있는 저희 직원들과 강사들의 명예를 걸고, 거짓으로 포장하지 않고 사실만을 전달함을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또 “배달기사님에 대한 비하 발언을 어느누구도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이라고 생각하며, 학원에서도 해당 비하 발언을 한 도우미로 하여금 진심이 담긴 사과를 관련된 분들에게 직접 전달하도록 했다”며 사과했다.
끝으로 정 원장은 “마치 자다가 망치를 맞은 듯 큰 고통을 겪고 있는 학원을 먼저 걱정해 주시는 학부모들께 논란의 중심이 되는 심려를 끼치게 되어 머리 숙여 죄송한 마음 전한다”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이날 이 학원의 셔틀 도우미가 배달 노동자에게 폭언하는 녹취록이 온라인상에 공개돼 논란이 일었다.
지난 2일 온라인 커뮤니티 ‘웃긴대학’에는 배달 대행업체 관리자라고 밝힌 글쓴이가 고객에게 갑질을 당했다며 올린 글과 통화 녹음 파일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지난 1일 배달 앱을 통해 학원에서 커피 주문을 받아 배달했지만, 주소가 잘못 기재돼 있었고 학원강사로 여긴 A씨와 통화해 다시 학원으로 찾아갔는데, 배달료 결제를 해 주지 않아 10분 정도 기다렸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항의하자 A씨가 “공부 못 하는 사람이니 배달 같은 걸 한다”는 등 막말과 폭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후 A씨는 학원강사가 아닌 셔틀 도우미로 밝혀졌다.
배달노동자조합 라이더유니온과 피해 노동자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배달기사가 원하는 건 진정한 사과뿐”이라며 “가해자에 대한 과도한 비난은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배달 노동자의 감정 노동에 대한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