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는 의대생 미복귀로 인한 대규모 제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각 대학들은 이를 메우기 위한 대비책으로 결원 발생 시 편입학을 검토하고 있다. 의대 편입학에 합격하면 보통 본과 1학년으로 들어가게 된다. 의대 교육은 총 6년 과정인데, 이 중 1·2학년 예과는 교양 수업 중심이기 때문에 편입생이 이전 대학에서 공부한 2년을 예과 과정으로 인정한다. 편입 대상은 통상 다른 대학의 공대·자연대 등에서 2년을 공부한 학생이다. 선발 기준으로는 자체 시험, 영어 성적, 학점 등을 활용한다.
대학들은 의대 등록금 수입 감소 등 학교 경영상 어려움으로 이같은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전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학생들의 1년 공백도 문제지만, 대학의 경영과 학사 운영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 지원관은 의대생 제적 시 대학의 편입학 가능성에 대해 “평소에도 대학은 결원이 생기면 일반 편입학으로 충원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의대의 경우 소수지만 결원이 있는 학교들은 지속해서 (결원을) 충원해 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의대생 미복귀 시 유급·제적 처리, 편입학 허용 여부는 각 대학의 학칙에 따른 자율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김 지원관은 25학번 신입생 상황에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올해 신입생 관련 민원이 가장 많다”며 “많은 학생들이 수강신청을 했으나 선배들의 압박으로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학생들도 3월 말이면 수업일수 부족으로 유급될 수 있어 매우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의대생 등록 마감일은 이달 21일부터 시작된다. 경북대·고려대·연세대는 21일, 전남대는 24일, 서울대·부산대는 27일이 기준일이다.
한편 이날 오전 10시에는 전국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긴급 온라인 회의를 개최한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회의에서 의대생 복귀 관련 현안을 집중 논의할 방침이다. 각 대학은 의대생들의 추가 휴학 신청을 반려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을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전날(18일) 공문을 통해 “형식적으로는 개인 사유에 의한 휴학 신청이라도, 실질적으로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 신청에 대해서는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주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