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국 16개 시도(세종시 제외) 패널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했다. 특히 제조업 비중, 소득 규모, 고령인구 비중,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중심으로 지역별 차이를 살폈다.
분석 결과 통화정책 충격에 의한 영향은 제조업 비중이 낮은 지역일수록 크게 나타났고, 소득 규모에 따라선 소득 하위지역이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고령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에선 생산이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통화정책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데는 지역의 높은 비임금 근로자 비중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효과가 더 작게 나타난 것은 해당 지역에서 수출 비중이 높고 소규모 기업체 비중이 낮은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과 제주는 3가지 변수가, 서울과 강원은 2가지 변수가 통화정책 충격 영향을 크게 받는 상위 25% 지역에 해당했다. 지역별 제조업 비중은 2021년 기준 서울(3.7%), 제주(4.2%), 강원(10.5%), 부산(17.2%) 순으로 낮았다. 소득 규모는 대구, 광주, 부산이 3000만원 이하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작년 기준 전남(23.9%), 경북(23.3%), 전북(22.7%), 강원(22.2%), 부산(20.9%) 순으로 높았다.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작년 기준 서울(205.4%), 제주(128.5%), 부산(116.6%) 등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