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세밑 정치권이 뒤죽박죽이다. 여당은 여당대로, 야당은 야당대로 각각 ‘마이웨이’를 고집하면서 민생이 사라졌다. 새해 예산안의 법정처리시한은 지난 2일이었지만 여야는 대수롭지 않게 헌법을 위반했고 위헌적 상황은 보름 이상 이어졌다. 그 와중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이라는 메가톤급 이슈가 터졌다.
정치권은 초대형 외교안보 이슈에 초당적 대처를 다짐하고 있지만 속내는 온통 내년 총선에 팔려있다. 여야를 가리지 않는다. 한나라당은 초비상이다.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참패와 중앙선관위 인터넷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 파문, 줄줄이 이어지는 권력형 비리 탓에 악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대로 가면 총선은 해보나마나한 상황이다. 야권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반(反)이명박 정서를 바탕으로 내년 총선 승리를 다짐하며 손을 맞잡았지만 어색하기 그지 없다. 지난 세월동안 격렬하게 대립하다 총선을 앞두고 한 살림을 차리면서 날이면 날마다 당명이 뒤바뀐다는 비아냥거림까지 나온다.
여야의 위기감은 ‘안철수’ 때문이다. 지난 가을 느닷없이 등장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정치권의 패러다임을 확 바꿨다. 의사, 컴퓨터 전문가, 경영인, 교수 등 다양한 스펙트럼과 젊은세대와의 소통능력을 무기로 한국정치를 뒤흔들었다. 안 원장의 대중적 파괴력을 확인한 정치권은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냈다. 그러나 허사였다.
선문답과 같은 안 원장의 행보는 특이하다. 서울시장 선거 출마 의사를 밝힌 것만으로도 가장 유력한 후보가 됐다. 또 10배 가량의 지지율 차이에도 현 박원순 시장에게 후보직을 양보했다. 만약 출마했다면 당선은 기정사실이었다. 역설적으로 서울시장 불출마는 그를 가장 유력한 대권후보로 만들었다. 박근혜 대세론은 허무하게 붕괴됐고 야권은 차기 대선에서 후보를 내지도 못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 떨었다.
안 원장은 '정치를 하겠다', '내년 대선에 출마하겠다'고 말한 적이 없다. 그래도 정치권에서는 온갖 설들이 횡행한다. 신당 창당설, 강남·부산 출마설, 대선 직행설 등등. 비(非)정치인인 안철수는 말이 없지만 기성 정치권은 온갖 경우의 수를 대입해 정치공학적 유불리 계산에 몰두하고 있다.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하는데 손가락만 보고 있다’는 말이 있다. 여야는 ‘안철수 신드롬’을 만들어낸 민심이 아니라 ‘안철수’만을 바라보고 있다. 수많은 정치인들의 재산 기부가 있었다. 국민들은 왜 유독 안철수 교수의 재산 기부에 열광적인 지지를 보낼까. 해답은 정치권의 몫이다. 차분히 생각해보면 의외로 쉬운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