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병환 "저축은행업권, 부동산PF 정리 차질없이 이행해야"

송주오 기자I 2024.09.06 10:00:00

건전성 악화 지적하며 부동산PF 정리계획 이행 강조
"대손충당금 및 자본확충에도 각별히 신경써야"
디지털 전환·비대면 채널 확대 등 체질개선도 주문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저축은행업권을 만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재구조화·정리계획의 철저한 이행을 강조하며 건전성 관리를 당부했다. 저축은행업권의 연체율 급등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한 데 따른 것이다.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업권이 건전성 관리 이유로 약화된 서민금융공급기능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저축은행중앙회장, 8개 저축은행장, 남재현 국민대학교 교수, 박기홍 KCB연구소 소장과 만나 저축은행의 당면한 위기극복을 통한 시장신뢰 제고와 본연의 지역·서민금융 공급기능 회복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경청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정부서울청사에서 저축은행중앙회장, 8개 저축은행장, 남재현 국민대학교 교수, 박기홍 KCB연구소 소장과 만나 저축은행의 당면한 위기극복을 통한 시장신뢰 제고와 본연의 지역·서민금융 공급기능 회복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경청했다.(사진=금융위원회)
◇“PF 정리계획 이행 소홀함 없어야”

김 위원장은 “최근 부동산 PF 문제로 인한 시장의 경영건전성에 대한 우려 등 신뢰의 문제에 직면한 엄중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진단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순손실은 380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손실 폭이 2839억원 커졌다. 주요 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연체율은 8.36%로 전년 말 대비 1.81%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11.52%로 3.77%포인트 급등했다.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 건전성 악화의 원인으로 지목된 부동산PF 재구조화·정리계획의 철저한 이행을 당부했다. 그는 “저축은행 업계에 부실우려 등급 사업장은 원칙적으로 6개월 내 경공매 등을 통해 조속히 정리하는 등 사업성 평가결과 등에 따라 마련한 재구조화·정리계획을 이행하는데 한 치의 소홀함도 없도록 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가능성에 대비한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과 자본확충에도 각별히 신경써서, 부동산 PF 시장의 자금 선순환과 신뢰회복에 앞장서 줄 것”을 요청했다.

지난 6월말 기준 부동산 PF 1차 사업성 평가 결과 정리가 필요한 유의·부실우려 사업장 규모는 21조원에 달했다. 이는 전체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216조 5000억원의 약 9.7% 수준으로 나타났다. 1차 평가 외에 남은 사업장에서 유의와 부실우려 여신은 약 2조 3000억원 가량일 것으로 추정된다. 저축은행업권의 유의 및 부실우려 사업장 규모는 4조5000억원으로 상호금융(9조9000억원)권 다음으로 많은 규모다.

저축은행업권은 부동산PF의 적극적인 관리를 약속하면서 “사업성 평가결과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에 대한 재구조화·정리계획을 신속히 이행하고, 충당금 적립과 자본확충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에도 부족함이 없도록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화답했다.

◇“디지털 전환·비대면 채널 확대 등 필요”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의 체질개선도 주문했다. 그는 “업계 스스로가 신용평가 등 영업역량과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적극적인 디지털 전환노력, 비대면 영업채널 확대 등 비용구조 개선과 판매채널 다각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도 시급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도 저축은행이 시장 안정 속에서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신속히 할 수 있는 것부터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지역·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등 환경변화 등에 따른 저축은행의 포지셔닝 재정립과 이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에 대해서도 업계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나가겠다”고 부연했다.

업계는 김 위원장의 발언에 공감하면서 제도개선을 건의했다. 이희수 신한저축은행장은 햇살론 취급시 영업구역 내 의무여신비율 산정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해달라고 요청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금융상품 비교플랫폼, 중저신용자 맞춤형 신용평가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방안을 회원사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논의하겠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