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5월 은행권 가계대출 6조원↑, 7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최정희 기자I 2024.06.12 12:00:00

한은, 5월중 금융시장 동향 발표
5월 누적으로 14.6조 늘어…5년 평균과 유사
주담대만 5.7조원 급증, 두 달째 증가폭 확대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 3.8조, 전월보다 1조 더 늘어
기업대출 6.9조 늘어, 전월비 5조 감소
은행 수신 25조 급증…LCR 정상화 대비로 ''영업 강화''

사진 =연합뉴스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지난 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6조원 급증했다. 7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다. 주택 거래가 늘어난 데다 정책 금융 취급이 증가한 영향이다. 5월 누적으로 14조6000억원 늘어나 3년래 최대폭 증가했다. 다만 5년 평균과 유사한 수치다.

출처: 한국은행
12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2024년 5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6조원 늘어났다. 작년 10월 6조7000억원 급증한 이후 7개월래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이다.

올 들어 5월까지 누적으로 보면 가계대출은 14조6000억원 증가했다. 2022년, 2023년엔 5월 누적 기준 각각 1000억원 감소, 1조7000억원 감소를 보였으나 3년 만에 최대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2019~2023년 5년 평균 5월 누적 증가액은 16조4000억원으로 올해 증가액과 큰 차이는 없었다.

가계대출을 늘린 것은 주택담보대출이다. 주담대가 5조7000억원 늘어났다. 두 달 연속 급증세이자 작년 11월(5조7000억원) 이후 최대치다. 주담대가 증가한 것은 주택 거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주택 거래는 올 1~2월까지만 해도 4만3000호 수준이었으나 3월 5만3000호, 4월 5만8000호로 증가하고 있다. 2022년 5월 6만3000호를 기록한 이후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이다. 주택 거래 증가 추세는 향후 주담대가 더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올해부터 신생아 특례대출 등 주택도시기금의 정책대출이 신규로 출시되면서 주담대가 최저 1%대의 저리로 취급되고 있는 것도 주담대를 늘리고 있다. 주담대 5조7000억원 중 3조8000억원을 주택도시기금의 정책 대출 때문에 늘어났다. 전월보다 1조원 더 늘어난 것이다. 전세자금대출은 5월 7000억원으로 석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전세 거래도 3월 5조5000호, 4월 4조4000호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반면 가정의 달 등 계절적 자금 수요 영향에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3000억원 늘어났다. 다만 이는 전월(6000억원)보다 증가세가 둔화한 것이다.

출처: 한국은행
은행 기업대출은 6조9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달(11조9000억원) 대비 5조원 급감한 것이다. 대기업 대출은 1조1000억원 증가해 운전자금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 4월엔 분기말 일시상환분이 재취급되며 배당금 지급이 이뤄지면서 자금 수요가 늘어나 6조5000억원의 대출이 취급됐으나 이달엔 자금 수요가 둔화한 것이다. 중소기업 대출은 5조8000억원 늘어나 전달(5조4000억원)보다 증가했다. 일부 은행의 기업대출 영업 강화, 시설자금 수요 확대 등에 따른 것이다.

회사채는 1조5000억원 순상환했다. 연초 대규모 선발행, 계절 요인 등에 발행물량이 축소된 영향이다. 두 달째 순상환이 이뤄지고 있다.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는 1조4000억원 순발행됐다. 우량물 중심으로 순발행이 이어지고 있다. 주식발행은 2000억원 이뤄져 3월 1조9000억원, 4월 1조원에 비해 둔화했다.

은행권 수신은 4월 32조8000억원 감소에서 5월 25조원 증가세로 전환했다. 은행들은 유동성규제비율(LCR) 단계적 정상화 등에 대비해 예금 영업을 강화하면서 정기예금이 4조7000억원 감소에서 13조9000억원 증가로 전환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기업 및 지자체 자금 유입에도 가계의 계절적 자금 수요에 예금 인출이 이뤄졌다. 4월엔 45조원 감소에서 5월엔 1조2000억원으로 감소폭이 줄어들긴 했으나 감소세가 계속됐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16조6000억원에서 17조6000억원으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머니마켓펀드(MMF)는 6조3000억원 증가했다. 채권형 펀드는 3조5000억원, 주식형 펀드는 1조4000억원 증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