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늘어나는 산업 재해 관련 국민 편의를 높이기 위해 AI 기반 의학 자문 모델 개발에 나서는 것으로 산재 관련 합리적 요양 기간 산정 과정에 AI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번 모델 개발은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 1000만 건 이상의 산재 근로자 관련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근로복지공단이 협업을 통해 진행한다.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이번 모델이 개발되면 AI가 근로복지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과거 자문 사례 등을 학습해 산재 근로자의 질병과 증상에 맞는 합리적인 수준의 요양 기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I는 우선 현재 산재 관련 의학 자문의 약 절반(48.4%)을 차지하고 있는 요양 기간 연장 일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다. 행안부와 근로복지공단은 자문 모델이 개발돼 현장에서 활용되면, 기존에 이뤄진 자문 내용과 성격을 토대로 볼 때 단순 사례에 해당하는 약 80% 가량에 대한 자문을 AI가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는 산재로 인해 요양 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요양 기간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 근로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 기관은 요양 기간, 치료 방법 등이 포함된 진료 계획을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해야 한다. 그러면 근로복지공단은 진료 계획에 포함된 추가 요양 신청 일수가 타당한 지 여부를 공단 소속 20여 명의 상근 의사와 1300여 명의 위촉 자문 의사를 통해 검토하는데, 자문의 대부분이 현업에 종사하고 있어 결과가 나오는 데 약 5일의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AI가 투입되면 민원의 타당성을 근로복지공단 담당자가 본인의 컴퓨터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돼 업무 처리 속도가 높아져 국민 편의성과 행정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 행안부와 근로복지공단은 올해 말까지 AI 의학 자문 모델 개발을 마치고 산재 실무에 바로 활용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향후 근로복지공단이 구축 예정인 ‘스마트산재보상시스템’에도 분석 모델을 탑재할 계획이다.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 관계자는 “기존 산재 관련 의학 자문 사례를 보니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지 않고 바로 답이 나오는 경우가 80% 이상 됐고 이 부분을 AI로 대체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AI 개발 예산은 2억~3억 원 정도로 예상되는데, 개발되면 연 20억 원 정도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