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여파로 일자리 양극화↑…"중숙련 일자리 1.7% 감소"

이윤화 기자I 2021.12.27 12:06:45

BOK이슈노트 '코로나19 이후 고용재조정 및 거시경제적 영향'
로봇 대체 쉬운 중숙련일자리, 고숙련일자리 비해 2배 가량 더 감소
숙박, 음식업 등 대면 서비스 종사자 택배, 운수업 등으로 유입 흐름
한은 "일상 회복 이후에도 산업, 직업간 일자리 양극화 지속 전망"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코로나19 이후 대면 서비스업 위주로 일자리가 줄어들고 정보통신(IT), 금융업 등은 호조세를 보이면서 산업간 고용재조정, 생산성 격차가 두드러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직업별로는 단순 사무직 등 로봇이나 인공지능(AI)에 의해 대체가 쉬운 중숙련 일자리의 임금이 고숙련 일자리에 비해 2배 가량 더 큰 폭 감소하면서 임금 양극화도 더욱 뚜렷해진 모습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이 27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고용재조정 및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간, 직업간 양극화가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 안전망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는 대면 서비스 제약, 비대면서비스 확산, 산업별 업황 등에 따라 모두 다른 패턴을 나타냈다. 특히 팬데믹 기간 중에는 서비스업 내에서 일자리 특성에 따른 고용재조정이 나타났다는 특이점을 보였다.

서비스업의 경우, 비대면서비스업(운수창고·정보통신 등) 취업자수가 증가한 반면 대면 서비스업(도소매·숙박음식 등) 취업자수는 큰 폭으로 줄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에 IT 서비스 등 정보통신 분야 일자리 수요가 증가하고 대면 숙박, 음식서비스업에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운수, 창고업으로 분류되는 배달원, 택배원 등으로 흘러 들어간 영향이다.

한은 관계자는 “감염병 확산 우려가 크고 재택근무가 어려운 판매 및 서비스 일자리가 큰 폭 감소한 반면 택배원, 배달원 등을 중심으로 단순 노무가 이례적으로 큰 폭 증가했고 재택근무 전환이 상대적으로 더 편한 관리자, 전문가, 사무직 등의 취업자수 변동폭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설명했다.

판매, 서비스직 등 생산성이 낮은 일자리가 줄어드는 ‘청산 효과’로 인해 전반적인 노동생산성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는 경기침체에 따른 일시적 효과로 이것이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분류뿐만 아니라 직업별로도 팬데믹 장기화 여파가 단순 반복 업무인 중숙련 일자리에 가장 큰 타격을 주면서 임금 양극화도 확대됐다.

한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택배 등 육체 노동이 주를 이루는 저숙련 일자리 수요가 늘면서 올 4분기 전분기 대비 3.9% 급증했고 금융업 등 전문직의 고숙련 일자리 역시 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순 사무직 등 중숙련 일자리는 1.7% 가량 감소했다. 임금상승률 변동 추이 역시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2017년~2019년 대비 2020년~2021년중 평균 임금상승률은 고숙련 일자리가 -2.3%인 반면 중숙련 일자리른 -4.3%를 기록했다. 저숙련 일자리의 임금상승률은 -3.5%를 기록했다.

이런 격차는 종사상지위별 취업자수 변화를 산업별로 분해해본 결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용직은 공공행정, 보건복지, 건설업을 중심으로 증가한 반면 임시일용직은 숙박음식, 도소매를 중심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도소매, 제조업, 숙박음식에서 크게 감소했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택배·배달업 등의 호조로 인해 운수창고업을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산업간, 직업간 격차가 더욱 커진 가운데 향후에도 감염병 리스크 회피, 노동비용 절감을 위한 자동화 대체, 비대면 생활방식이 이어지면서 중숙련 일자리가 줄어드는 일자리 양극화 추이가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한은 관계자는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 확산, 플랫폼 노동자 증가 등 일자리 환경 변화와 자동화 확산 등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면서 “고용재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동시장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도록 취업교육 등 직업훈련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단기적으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