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본사 소재지를 두고 외풍이 불었다. 애초 포스코는 포스코를 물적분할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본사 소재를 서울에 두기로 했지만 포항이 문제를 제기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포스코가 포스코홀딩스를 서울에 두기로 한 이유는 분명했다. 포스코홀딩스는 포스코뿐 아니라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케미칼, 포스코건설 등 여러 자회사의 컨트롤타워로서 사업·투자 관리와 미래 신사업 발굴을 담당하려면 서울이 유리하다는 판단이었다. 2020년 말부터 추진된 미래기술연구원 역시 수도권 설립이 당연했다. 인공지능(AI)과 배터리(이차전지) 소재, 수소 등 분야에서의 우수한 인력은 수도권 근무를 선호하다보니 이들을 유치하려면 수도권에 연구원을 지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포항 지역이 주장한 인력 유출과 세수 감소 우려는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포스코의 설명이었다. 철강 사업회사인 포스코의 본사는 포항에 있어 세수에 변동이 없고 이미 서울 삼성동 포스코센터에서 근무하는 인력 가운데 200여명만이 지주사로 소속이 바뀌는 형태여서다.
그럼에도 포스코는 포스코홀딩스와 연구원을 포항에 두기로 결정을 번복했다. “상황이 극단으로 치닫는 것을 막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사태를 원만히 해결하겠다”는 취지였다지만 대선주자들의 압박이 결정적 역할한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윤석열 국민의힘·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일제히 포스코홀딩스의 서울 설립에 반대 입장을 내비쳤다.
포스코는 빠르게 바뀌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고자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추진했지만 지주사의 소재지 결정이 번복되며 소모적 업무가 더해졌다. 외풍이 계속된다면 친환경 미래소재 전문 그룹으로의 도약이 더욱 늦어질 수밖에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