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정보서비스 업체 직방에 따르면 분양가 9억원을 초과하는 서울 민간아파트 비중은 2015년 12.9%, 2016년 9.1%, 2017년 10.8%으로 집계됐다. 이후 집값이 크게 뛴 지난해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는 29.2%로 1년 새 두배 가까이 늘었고, 올 들어서는 48.8%로 급증했다.
지난해와 올해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가 늘어난 이유는 달랐다. 지난해 분양가 9억원 초과 아파트의 90%는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에서 분양했지만, 올 들어서는 한강이북 서울의 비중이 73.6%로 늘었다. 고가주택이 몰린 강남3구의 분양 단지 중 9억원을 초과하는 비중은 압도적이었다. 지난해는 92.2%로 정점을 기록했고 올해도 76.4%의 비중을 차지했다.
강북권은 2017년 용산과 성동구 대형 고가 아파트 분양이 이뤄지면서 9억원 초과 아파트가 12.6%로 늘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2018년까지 10% 미만을 보였다. 다만 올 들어 그 비중이 45.4% 크게 증가했다. 한강이북 서울은 기존 한강과 맞닿아 있는 마포, 용산, 성동, 광진 외에도 서대문과 동대문 등 도심으로 분양가 9억원 초과 분양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
|
연도별 전용 84㎡ 아파트의 분양가격대별 비중을 보면 2015~2017년에는 전체의 70~80%대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다만 지난해는 이 비중이 45.4%로 절반 이하로 줄었으며 올 들어서는 17%로 더 떨어졌다. 반면 분양가 8억원 초과~12억원 이하에 해당하는 전용 84㎡ 아파트 비중은 올해 72.2%로 급증했다. 국민주택 규모로 일반가구의 선호도가 가장 높다고 볼 수 있는 전용 84㎡의 신규 분양가는 8억원 초과가 대세가 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급격한 분양가 상승은 지난해까지 오른 집값과 분양시장에 대한 수요자들의 높은 선호도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공공이 직접 분양가를 책정할 수 있는 대형 택지 부족과 재개발·재건축 조합들과의 분양가 협상이 쉽지 않은 것오 분양가 상승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최성헌 직방 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크게 뛰면서 청약당첨자들에게 자금 조달에 대한 부담을 키우고 있다”며 “청약 성적에 비해 저조한 계약 실적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현재와 같은 분양가 인상 흐름이 유지될지는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