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는 6일 ‘마린온 참사와 국방부 정치적 거래’ 제하 보도 관련 해병대 입장을 통해 “해병대는 항공단 창설을 위해 1998년 공지기동부대 개념을 정립했고, 1999년 및 2004년에 걸쳐 상륙헬기 소요를 해군본부를 경유해 합참에 제기했다”면서 “따라서 상륙헬기는 해병대에서 최초로 소요제기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보도가 “당초 마린온 도입 사업은 2002년 해군이 처음 전력 소요를 제기했다. 6328억원을 들여 포항의 해병대 1사단 옆에 있는 해군 6항공전단에 마린온 28대를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2012년 4월 국방부(합참)는 마린온을 해군이 아닌 해병대에 배치하기로 갑자기 방침을 바꿨다”고 한 것을 반박한 것이다.
해병대는 “전력 소요제기는 2011년 7월 해병대사령관 지휘권 보장을 위한 군인사법이 개정되기 전에는 해군본부를 경유해 합참으로 제기하는 절차였다”면서 “작전수행의 완전성 보장을 위해 상륙작전을 수행하는 부대에 병력과 장비를 편성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조치다. 합참 전력소요 결정은 합동전략실무회의, 합동전략회의, 합동참모회의 등 단계별 적법한 의사결정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개인 의지에 따라 소요가 결정된다고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해병대는 해당 보도가 “국방부는 마린온을 해군에서 해병대로 넘겼을 경우 생길 수 있는 안전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고 대비했느냐”고 지적한데 대해서도 “헬기 도입과 항공단 창설 일정을 고려해 충분한 조종사와 정비사를 양성 중에 있다”면서 “해군과 해병대 항공기는 기종과 대수가 상이하므로 조종사와 정비사를 단순 비교해 운용 및 정비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해당 보도는 “수십년간 노하우를 갖춘 해군에는 조종사가 250여명, 정비사는 780여명이나 된다. 반면 해병대는 해군에서 넘겨받고 새로 충원한 인력을 포함해도 현재 조종사와 정비사가 각각 40여명뿐”이라고 문제삼았다.
해병대는 “8일 사고조사위가 민관군 합동사고조사위로 확대 편성해 발족할 예정”이라면서 “사고조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확인되지 않은 사고 원인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거듭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