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과학은 지금은 국가 생존의 문제다. 과학기술 중심으로 패권 경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전환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 기업의 창의와 혁신이 가능하게 하는 규제 합리화, 즉 네거티브 규제로 바꾸는 것과 미래 인재 양성이다. 이것과 더해 가장 핵심적인것이 R&D 투자”라고 했다.
이 후보는 공약문을 통해 과학기술혁신 부총리제 신설로 기획 및 예산 권한을 대폭 위임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눈앞의 성과에 급급하여 소탐대실하지 않도록 단기성 중심의 연구개발을 중장기 연구개발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미래 원전 정책 방향성에 대해서도 명확히 했다. 이 후보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와 관련해 ‘3기 민주 정부는 탈(脫)원전 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야당의 주장인 것 같다”며 “ 이재명 정부의 원전 정책은 ‘감(減)원전’ 정책이다. 지금 원전은 계속 지어서 가동연한까지 운영하고, 새로 짓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문재인 정부에서 백지화한 한울 3·4호기에 대해서 “건설 중인 건 건설한 후 가동해서 사용하지만 경계선에 있는 문제”라며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민 공론을 거쳐 안 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건설 중이라곤 할 수 없지만 설계 중이던 것은 맞고 현재 멈춰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과학기술혁신 부총리제 도입 외에도 △미래 국가전략기술 확보로 기술주권 확립 △우주강국시대 선도 및 2030년 달 착륙 프로젝트 완성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과학기술 연구 확대 △지역의 R&D 자율성 강화로 지역 과학기술 역량 증진 △과학기술 연구자 중심 연구환경 조성 △과학기술 인력 폭넓은 양성 등 7대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2030년까지 달 착륙 프로젝트를 완성을 위해 “우주개발 전략 수립과 목표 달성을 위해 대통령 직속의 국가우주정책 전담기구인 ‘우주전략본부’를 설치하겠다”며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실현을 앞당기겠다. 민·군 협력으로 인공위성 구성품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촉진하고 첨단 인공위성 관련 민간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