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오는 2023년 서울 지하철 1~8호선 전 역에 교통카드를 찍지 않고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는 ‘비접촉식(Tagless) 게이트’가 설치된다. 올 8월부터는 스마트폰 앱으로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신용보증과 은행대출까지 원스톱 이뤄지는 ‘비대면 신용보증’이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2일 시 산하 26개 공공기관이 참여한 ‘포스트 코로나 공공혁신 보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공공혁신 5대 비전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행정에 접목해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고,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경제·돌봄을 회복하는데 중점을 뒀다.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5대 비전 총 128개 사업에는 6116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주요 5대 비전은 △365일 상시 방역체계 구축(11개 사업·747억원) △4차 산업혁명 선도 미래도시 서울 조성(32개 사업·2675억원) △언택트 서비스 대폭 확대(44개 사업·831억원) △경제적 소외계층 대상 경제방역(29개 사업·1759억원) △감염병 대비 맞춤형 돌봄서비스 제공(12개 사업·104억원)이다.
가장 먼저 물리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도 기본적인 민원업무가 가능할 수 있도록 비대면 공공서비스를 대폭 확대한다.
시는 자동차 하이패스처럼 교통카드를 개찰구에 찍지 않아도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비접촉식 게이트를 2022년 서울지하철 1~8호선 556개 게이트에 도입하기로 했다. 2023년에는 모든 지하철역 3340개 게이트에 설치할 예정이다. 카드를 꺼내 다수가 이용하는 기기에 태그할 필요 없이 지나가기만 하면 되는 완전한 비접촉 방식이다. 또 은행과 서울신용보증재단을 방문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으로 관련 서류를 제출하기만 하면 되는 비대면·원스톱 신용보증 프로세스도 올 8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유형의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년 365일 상시 방역체계도 구축한다. 먼저 12개 시립병원 간 의료 인력·물품·시설 등 자원과 정보를 공유하고, 시립-민간병원 간 소통·협력을 강화해 민관 공동 대응체계를 만든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시립병원 운영 혁신센터’를 2021년 6월 설립할 예정이다. 인력부족에 시달리는 역학조사관을 도와 확진자 동선추적 업무를 담당할 ‘감염 접촉자 추적요원(Contact Tracer)’ 300명도 신규 양성한다.
시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도시 서울을 위해 공공서비스 혁신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먼저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로 전동차와 선로 등 고장 징후를 실시간 검지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스마트 트레인’ 안전관리를 2022년 전 노선에 도입한다. 전동차별 혼잡도를 앱이나 승강장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2023년 전 노선에 도입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지원에도 나선다. 의료·비대면·스마트인프라 등 포스트코로나 유망 분야 스타트업 창업 지원을 위한 500억 규모의 ‘H-O-U-S-E’ 창업정책펀드를 새롭게 조성하고, 마스크 혁신기술 발굴을 위한 6만 달러 규모의 국제공모도 추진한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가장 먼저, 더 깊게 다가온 경제적 소외계층의 삶을 더 두텁게 보호하기 위한 경제방역도 강화한다. 영세 자영업자 불황과 사회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기초체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지원’을 시작하고, 중소기업이 미국 아마존 같은 해외 유명 온라인 플랫폼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판로를 지원한다.
아울러 시는 감염병과 공존해야 하는 코로나 이후 시대를 대비해 감염예방 효과를 극대화한 ‘S-돌봄 감염예방 디자인’을 개발, 국공립어린이집, 우리동네키움센터 등에 적용하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공공서비스야말로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한 혁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분야”라며 “S방역이 세계의 표준이 된 것처럼 서울시 26개 공공기관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공공기관 혁신 표준모델을 만든다는 목표로 혁신을 본격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