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일 ‘시진핑 3기 집권 후 중국의 경제발전 방향과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해당 보고서에서 “국내 기업은 중국이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산업에 진출하는 데 이어 2~3선 도시 공략, 중국 창업 생태계 활용 등의 방법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달 16일부터 22일까지 제20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를 열고 시진핑의 중국 국가주석 3연임을 확정했다. 당 대회에선 ‘중국식 현대화’를 목표로 △질적 성장 △경제체제 현대화 △과학·교육 진흥 △공동부유 △녹색성장 등 5가지 경제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이 중에서도 질적 성장과 경제체제 현대화를 최우선 과제로 강조했다.
|
특히, 신형인프라 정책은 5세대(5G) 통신망, 데이터센터, 고속·도시철도 등 차세대 인프라 구축 정책으로 침체한 중국 경제를 단기간에 끌어올릴 수 있는 수단인만큼 가장 먼저 시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또 신형도시화 정책을 두고 호적제도 개편을 통해 중국 내 고질적인 지역·계층 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 주도 성장모델 구축을 위한 핵심 정책으로 신형인프라 정책과 병행 추진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터넷플러스 정책은 산업·경제·사회 등 전 분야에 대한 디지털 전환을 꾀하는 것으로 전자상거래·게임·공유경제·핀테크 등 산업 인터넷 부문을 육성할 것으로, 중국제조2025는 중국의 제조업 혁신 30년 로드맵으로 반도체 자립 등 핵심 기술력 증진을 위한 연구개발(R&D) 확대,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차세대 기술력 확보에 초점을 맞춰 추진될 것으로 관측했다.
연구원은 이어 중국 정부가 지난 2014년부터 시행한 ‘대중창업, 만중창신’(대중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전 국민의 창의성을 발휘시킨다)의 쌍창 정책을 두고 최근 높아지는 실업률과 혁신주도 성장모델 구축을 위해 앞으로도 꾸준히 추진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중국의 경제발전 방향과 핵심 정책을 고려해 네 가지 대응 전략을 제언했다. 먼저 차세대 인프라, 스마트 제조 분야, 내륙 개발 등 고속 성장이 예상되는 산업에 대한 진출전략을 적극적으로 수립할 것과 징진지·장강삼각주 등 19개 핵심 도시별 특화산업, 중점도시-주변도시와의 연계 발전을 고려한 진출방안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국의 소비 주도 성장모델 구축 전략에 따라 중국 2~3선 도시와 농촌 지역의 소비시장을 공략하고, 중국의 창업 생태계를 국내 스타트업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면서 현지 우수 인재 유치를 통한 중국 시장 진출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