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사업규모가 점차 대형화되면서 최근엔 `선금융 후발주` 형태의 입찰이 일반화되고 있다"면서 "경쟁력 있는 금융조달이 수주의 성패를 좌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대규모 프로젝트선 수출신용기관(ECA)이 제대로 금융을 조달하지 못하면 신규 사업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김 행장은 "글로벌 플랜트 시장이 오는 2015년까지 1조1000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면서 "올해 녹색과 플랜트, 자원개발 등 미래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총 70조원 금융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중동과 중남미 지역에 대한 통합 마케팅을 통해 유망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도 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해외 플랜트 수주액은 650억 달러 규모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바 있다. 이중 약 80%가 5억달러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였다.
김 행장은 올해 `투자개발형` 사업을 적극 확대할 계획도 내비쳤다.
그는 "우리 기업이 단순하게 시공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주, 사업운영, 제품구매 등 사업 전반을 주도하는 투자개발형 사업을 적극 발굴해 금융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 "최근 개도국 정부의 인프라 사업이 크게 늘고 있다"면서 "대외경제협력기금과 수출입은행 자금을 혼합한 `복합금융`을 통해 금융 경쟁력을 높여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인프라 사업 발주가 급증하고 있는 베트남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3국 정부와 상시 협의채널을 구축해 지원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라고도 말했다.
여기에다 "글로벌 비즈니스에 취약한 국내 상업금융회사들이 해외 프로젝트 금융시장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금융 매커니즘도 모색할 것"이라며 "국내외 금융네트워크를 확충해 대형 프로젝트 공동 금융지원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행장은 "은행과 증권사, 보험사 및 정책금융기관을 아우르는 정례협의체를 구성해 대형 프로젝트 지원경험을 공유하겠다"면서 "국내 금융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해외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