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과거 안재홍 선생이 패전한 일본에 ‘동등하고 호혜적인 관계로 나아가자’고 제안한 것을 언급하며 “한일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공통의 가치를 기반으로 분업과 협력을 통해 성장했으며 앞으로도 함께 가야 할 방향”이라고 관계 개선을 제안했다. 위안부 등 역사문제에 대해 “국제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기준에 맞춰 해결해야 한다”고 말하긴 했으나 과거 광복절 경축사에서 ‘반일’이나 ‘극일’ 관련 메시지를 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대북 메시지로는 공존을 기반으로 한 ‘한반도 모델’을 언급한 것 정도가 눈에 띄었으나 종전선언이나 철도연결, 이산가족 상봉 등 구체적인 협력 제안은 없었다. 코로나19와 관련해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에 북한의 참여를 요청한 것 정도가 구체적 현안이다. 지난해에는 남북 생명안전공동체와 평화공동체, 동북아 철동공동체, 보건·의료·삼림협력 등 다양한 과제를 열거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이 소극적인 대일·대북 메시지를 낸 것은 묘수가 없는 한일·남북 관계를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임기를 9개월 가량 남겨둔 문 대통령의 화해 요청에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보란 듯이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봉납했다. 남북관계는 한때 통신연락선 복원으로 훈풍이 불다 한미연합훈련을 계기로 무력도발까지 걱정해야 할 정도로 악화했다.
정치권에서는 정상회담급 정치이벤트가 뒤따르지 않는 이상 문 대통령의 임기중 한일·남북관계 개선은 힘들 것이라 본다. 광복절에 화해 제스처를 취한 것 역시 차기정권에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