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소득 60년만에 400배..가계저축은 1953년 수준

조진영 기자I 2014.12.15 12:00:53

한은, 국민계정(1953~99년) 개편 결과 발표

[이데일리 조진영 기자] 국민총소득(GNI)이 60년만에 3만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1인당 GNI도 394배 증가했다. 반면 2013년 현재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1953년 수준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민계정(1953~99년) 개편 결과 - 새 국제기준 이행 및 기준년(2010) 개편’자료에 따르면 1954년부터 2013년 사이 우리나라 연평균 실질 GDP 성장률은 7.4%로 집계됐다. 1950년대 5.8%에서 꾸준히 증가하다가 70년대 10.4%로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후 점차 낮아져 2010년대에는 3.9%에 머물렀다.

60년간의 통계가 새로운 기준에 맞춰 조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새 국제기준(2008SNA)에 따라 국민계정을 정리하면서 관련통계가 처음 작성됐던 1953년까지 소급 개편했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발표했던 국민계정 및 기준년 개편의 후속조치다. 개편이 완료되면서 1953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계정 전체 흐름을 비교해볼 수 있게 됐다.

새 기준에 따라 2010년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이전보다 7.8% 늘어난 1265조 3000억원을 기록했다. 1990년대 이후 R&D투자처리, 해외생산 포착 등으로 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GDP가 늘어나면서 이 기간 1인당 GNI는 연평균 10.5% 증가했다. 이중 물가 상승률은 10.9%로 GNI 상승에 가장 많이 기여했고 실질소득 증가율은 7.1% 늘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달러-원 환율 상승(-5.9%)과 인구증가율(-1.5%) 등은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했다. 1975년~2010년 중 1인당 GNI는 평균 3.6% 상승했고, 실제 가계가 벌어들인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도 2.1% 늘었다.

총저축률은 1953년(10.9%)에서 1988년(41.7%)까지 빠르게 상승하다가 점점 낮아져 2013년에는 34.4%를 기록했다. 국내총투자율 역시 1991년 41.4%로 정점을 찍은 뒤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2013년 28.8%까지 떨어졌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3%를 정점으로 빠르게 하락해 2013년에는 4.5%로 낮아졌다. 이는 관련통계를 처음으로 집계한 1953년 수준이다.

경제구조 변화도 눈에 띈다. 농림어업 생산은 1953년 당시 GDP에서 절반 가까이(48.2%) 차지했으나 2013년 2.3%로 크게 줄었다. 반면 제조업(7.8%→31.1%)과 서비스업(40.3%→59.1%)의 비중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지출분야에서는 민간소비는 줄고 정부소비가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민간소비의 GDP대비 비중은 1953년 86.5%에서 꾸준히 낮아져 1990년대 이후 50%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정부소비 비중은 1953년 8.0%에서 2013년 14.9%로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노동자 보수는 점점 1953년 23%에서 점차 확대돼 1990년대 이후 40% 초반에서 머물고 있다. 반대로 총영업잉여는 69%에서 점점 감소해 2000년대 이후 47%대가 유지되고 있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우리나라는 1953년부터 국민계정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동안 현재 상황에 충실하자는 입장에서 1970년대까지만 개편해왔기 때문에 시계열이 단절돼있었다”며 “전체 시계열을 연결했다는 점에서 이번 작업이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