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본격 발생한 지난 해 국내 1000대 기업의 매출액 규모는 1489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1508조원보다 19조원(1.3%감소)감소한 금액이다. 지난 2017년(1492조원) 당시 매출 덩치보다도 작아진 규모다. 코로나19라고 하는 복병을 만나 작년 한해 국내 기업들의 외형은 1500조 원대 벽도 무너지고 2017년 이전 수준으로 뒷걸음질 친 셈이다.
지난해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회사 숫자는 지난 2019년보다 줄었다. 1000대 기업 중 매출 1조 원이 넘는 회사는 △2016년 184곳 △2017년 187곳 △2018년 199곳 △2019년 209곳으로 점차 증가 추세를 보여오다 지난해에는 204곳으로 이전해 대비 5곳 감소세로 증가세가 꺾였다.
△쌍용씨앤이(2019년 1조 447조 원→20년 9926억 원) △신세계건설(1조 161억 원→9567억 원) △대웅제약(1조 51억 원→9447억 원) △이수화학(1조 2121억 원→9434억 원) △남양유업(1조 182억 원→9360억 원) 등은 2019년 대비 2020년에 매출 1조 클럽에서 탈락했다.
이와 반대로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매출 1조 클럽에 새로 입성한 기업들도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한섬(9945억 원→1조 1947억 원), △셀트리온(9818억 원→1조 6897억 원), △실리콘웍스(8671억 원→1조 1618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7015억 원→1조 1647억 원) 등은 지난 해 매출 1조 클럽 반열에 새로 가입했다.지난 해 매출 10조 원 넘는 슈퍼기업 숫자도 전년 대비 2곳 줄어든 30곳으로 조사됐다. △대한항공(12조 177억 원→7조 4050억 원) △현대건설(10조 146억 원→9조 3201억 원) △SK네트웍스(10조 5741억 원→8조 629억 원) 세 곳은 매출 10조 클럽에서 탈락하는 쓴맛을 맛봤다. 반면 삼성증권(6조 5271억 원→10조 8166억 원)은 새롭게 10조 원대 매출 기업군에 합류했다.
금융 업종에서는 이베스트투자증권(매출 증가율 84.4%↑), 한화투자증권(74.8%↑), 키움증권(68.3%↑), 등의 회사들의 매출 실적이 1년 새 60% 이상 껑충 뛰었다. 바이오 업종에서는 바이오니아(610.8%↑), 랩지노믹스(259.8%↑), 바디텍메드(106.6%↑) 등이 덩치가 더 성장했다. 정보 및 게임 업체 중에서는 웹젠(68.6%↑), KG모빌리언스(62.7%↑), 엔씨소프트(47%↑) 등의 매출 증가 실적이 A학점을 받았다.
이와 달리 석유·화학(Chemical), 철강(Iron), 항공(Air) 업체들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C·I·A’ 업종들은 코로나에 매출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국내 1000대 기업 중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11.2%로 역대 최고를 찍었다. 1000대 기업 중 삼성전자의 매출 영향력은 지난 2013년에 처음으로 11%로 10%대를 넘어섰고, 2018년에는 11.1% 수준을 보였다. 코로나 정국에 삼성전자의 매출 영향력은 더욱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