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의 해외 관광객 유치실적은 일본을 앞섰지만 지난해 일본은 2000만 명에 육박한 외래객을 유치해 1300여만 명에 그친 한국을 650만 명 차이로 역전시켰다. 일본은 약 11조원의 관광수지 흑자를 기록한 반면, 한국은 약 6조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지난해 한일 관광실적이 역전된 것은 엔저추세에 따른 환율효과나 메르스 발생에 따른 영향도 있었지만 일본이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위기대응, 치밀하고 전략적인 외래 관광객 유치 프로모션, 중일관계 악화 영향 차단, 지방관광지 경쟁력 등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일본은 2011년 3.11대지진 이후 외래 관광객 급감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에 신속하고 체계적인 안전정보를 발신하는 한편 정부와 기업, 단체가 참여하는 ‘방일여행촉진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가별로 전략적 관광객 유치 프로모션을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지진 발생 1년 후인 2012년에는 지진 발생 전 수준을 거의 회복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2년 센카쿠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로 중일간 외교분쟁이 격화되었을 때 중국인 단체관광객 취소사태가 발생했다. 이 때 일본은 비자발급 완화, 항공노선 증편 등 중국인 개인관광객 유치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함으로써 2014년부터 방일 중국인이 폭증하는 성과를 거뒀다.
전경련은 올해도 방일 중국인 관광객 증가율이 방한 중국인에 비해 크게 높기 때문에 전체 한일 관광객 유치실적 역전이 장기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중국 관광객 증가로 인해 관광산업의 큰 성과가 있었다고 착각하기 쉬우나 일본 관광 산업 성과와 비교하면 실상은 그렇지 않다”면서 “우리나라 관광산업 부흥을 위해 기존의 민관협력체계를 강화해 위기별 대응 매뉴얼 개발, 국가별 프로모션 전략 수립 등 실질적인 결과물을 도출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전경련은 한국을 찾은 외국인이 방문하는 권역 중 4위를 차지하는 곳이 강원도을 차세대 외국인 관광거점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원권은 설악산, 평창 등 기존의 관광자원에 더해 비무장지대와 금강산이라는 잠재적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라는 것이다.
전경련은 “DMZ평화공원을 개발하고 금강산관광이 재개될 때를 대비해 서울-설악산-DMZ평화공원-금강산을 연결하는 프리미엄 관광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면서 “DMZ와 금강산에 외국인 관광객이 찾아들면 장기적으로는 안보와 남북관계 측면에서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