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이날 중구 시청사에서 약식브리핑을 열고 “국토부가 발표한 용산공원 콘텐츠 선정안은 공원조성 기본이념과의 연계성은 모호하고 선정과정을 형식적이며 정부부처 사업들로만 구성된 콘텐츠를 보며 공원에 대한 집단적 훼손을 걱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용산공원은 미8군 용산기지가 평택으로 옮겨가며 만들어진 공터에 243만㎡의 생태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29일 공청회를 열고 이 공원을 어떤 콘텐츠로 구성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식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연면적 3만 3327㎡의 국립과학문화관을 짓고 여성가족부는 일본군위안부 역사관이 포함된 국립여성사박물관을 세운다. 경찰청은 서울 종로구에 있는 국립경찰박물관을 이곳으로 이전한다. 문화재청은 아리랑무형유산센터, 산림청은 아지타트 나무상상놀이터를 만든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국토부가 공원조성부지에 대해 정부부처의 개별사업을 위한 땅 나눠주기식 양상”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시는 “콘텐츠 수요와 설문조사는 단 1개월 진행됐다”며 “최초의 국가공원인 만큼 그 중요성을 생각한다면 다양한 주체들의 의견과 논의를 통해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어 “초기에 무분별한 콘텐츠 시설이 조성되면 향후 유사한 시설 진입을 막을 수 없게 돼 결국 난개발에 의한 공원의 집단적 훼손이 우려된다”며 “충분한 시간이 있음에도 성급하며 조성안을 올해 6월 심의에서 확정짓고 공원조성계획에 반영하겠다는 국토부의 독단적 추진은 향후 더 큰 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시는 중앙정부·시민단체·전문가·서울시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용산공원조성부지에 대한 공동조사를 제안하고 조성부지에 대한 명확한 현황정보와 공원조성계획 추진상황을 시민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부지조사나 정보공개가 어렵다면 향후 공론화가 가능한 시점에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콘텐츠 선정 및 공원조성계획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