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24일 총리관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베이징 올림픽·패럴림픽에 “정부 대표단 파견은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선수단은 예정대로 올림픽에 참가할 전망이다.
마쓰노 관방장관은 “국제사회의 불변적 가치인 자유, 기본적 인권의 존중, 법의 지배가 중국에서도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라며 이번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인권 관련 우려를 여러 경로를 통해 중국에 직접 전한 바 있다며, “베이징 올림픽에 관한 일본 정부의 대응은 이런 점도 종합적으로 감안해 스스로 판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주도의 보이콧 움직임에 동참한다는 비판을 피하려 선을 그은 것으로 보인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미국이 이달 초 베이징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발표한 이후 일본의 동참 여부에 대해 “적절한 시기에 국익에 따라 스스로 판단하겠다”고 말해왔다.
마쓰노 장관은 이번 올림픽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엄격한 방역 수칙 등을 고려할 때 정부 인사가 간다고 해도 선수단을 만나 직접 격려를 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에 스포츠청 장관 등이 올림픽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대신 참의원 의원인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장과 야마시타 야스히로 일본올림픽위원회(JOC) 회장, 모리 가즈유키 일본패럴림픽위원회(JPC) 회장을 베이징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각각 보낼 예정이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국제 행사에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고 선수단만을 파견하는 것을 말한다. 마쓰노 장관은 이번 결정에 특정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미국 정부의 발표에도 ‘외교적 보이콧’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일본은 올해 하계올림픽을 개최했다. 코로나19 확산세에도 중국에서 일본에 선수단 뿐 아니라 정부 대표단을 파견했던 만큼 이번 결정이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지난 7월 도쿄 하계올림픽 때 거우중원 국가체육총국장(장관급)을 필두로 한 사절단을 파견했다.
하지만 집권 자민당 내 강경 보수파는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홍콩 등에서의 인권 탄압 문제 등을 이유로 기시다 내각에 지속적으로 외교적 보이콧을 요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내각의 지지율이 떨어진 주 원인이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대응 미비였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은 지난 6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선수단만 보내고 외교 사절은 보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뉴질랜드, 호주, 영국, 캐나다 등이 동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