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뇌CT혈관조영술 검사에서 5mm 크기의 ‘뇌동맥류’가 진단된 55세 여성 고술녀(가명) 씨는 병원에서 혈관 파열 위험이 있으니 코일색전술을 하자는 권유에 당장 증상도 없는데 꼭 치료를 해야 할지 지켜봐야 할지 고민이다.
머릿속의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뇌동맥류’는 뇌동맥 일부분이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혈관질환으로 혈관 벽이 약해진 동맥류가 터지게 되면 뇌출혈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시한폭탄이라고 불릴 만큼 생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뇌혈관질환이지만 터지기 전까지는 아무런 증상이 없어 잘 모른 채 지내는 경우가 많다.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뇌 거미막하 출혈로 죽음에까지 이를 수도 있는데, 뇌동맥류 파열 환자의 약 20%는 파열 후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뇌동맥류에 대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고, 진단 후 치료를 할 것인지 또는 추적관찰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대학교병원 뇌혈관센터 남택균 신경외과 교수는 “뇌동맥류가 진단됐다고 해서 무조건 치료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뇌동맥류의 크기, 위치, 모양, 나이 등을 고려해 코일색전술을 할지 클립결찰술을 할지 결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뇌동맥류의 치료 방법은 일반적으로 뇌수술에 해당하는 개두술을 통한 ‘동맥류 결찰술(aneurysm neck clipping)’과 혈관을 통해 접근하여 치료하는 뇌혈관 내 치료 또는 중재적 시술에 해당하는 ‘코일 색전술(coil embolization)’로 나눌 수 있다.
‘결찰술’은 뇌동맥류 치료에 있어 오랫동안 시행되어 온 방법으로 기술적으로 이미 정점에 도달해 있다. 그 방법은 두피를 절개하고 두개골을 작게 열어 수술 현미경을 통해 뇌동맥류를 노출해 동맥류의 목(입구)을 클립으로 물어서 혈류를 차단하는 치료 방법이다.
‘코일색전술’은 두개골을 절개하지 않고 동맥류를 치료하는 비침습적 시술법으로 허벅지(사타구니, 서혜부) 대퇴동맥을 통해 여러 단계의 카테터(catheter, 도관)를 사용하여 뇌동맥에 접근한 뒤 뇌동맥류에 백금코일을 채워 혈류를 차단함으로써 동맥류가 터지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동맥류 입구가 넓은 경우 혈관 내 스텐트나 풍선을 이용해 입구를 지지하고 코일 색전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남택균 교수는 “뇌동맥류 치료에 있어 코일색전술은 개두술을 하지 않고도 치료할 수 있는 비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시술 시간도 3시간 이내로 비교적 짧으며, 치료 후 1~2일 이내에 퇴원하여 정상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코일색전술은 클립결찰술에 비해 재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통계적으로 10명 중 1명은 재치료가 필요한 경우여서 결찰술에 비해 재발확인을 위해서 시술 후 추적검사를 자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뇌동맥류로 인한 코일색전술 시술 후 6개월, 1년 6개월, 3년 6개월, 5년 6개월에 추적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치료 시 스텐트 보조 하에 코일색전술을 시행하였다면 최소한 6개월에서 1~2년 정도 항혈소판제를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권정택 신경외과 교수는 “뇌동맥류로 진단되었다 하더라도 모두가 파열되지는 않고 위치, 모양, 크기, 환자의 연령, 건강상태에 따라 파열 위험이 다르다”며, “개두술과 코일색전술 중 꼭 어떤 방법이 무조건 낫다고 볼 수 없으며, 환자의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해 두 가지 치료법을 함께 할 수 있는 병원의 전문의를 찾아 안전하고 정확한 치료법을 찾아 신속하게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