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삼성전자를 비롯한 업계는 지난 3월 2042년까지 300조원 이상을 투입해 경기도 용인 일대에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메모리반도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시스템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취지다.
문제는 전력 공급이다. 반도체 생산공장을 지으려면 대량의 전력 공급이 필수인데, 용인을 비롯한 수도권은 이미 전력 공급능력이 포화한 상황이어서 전력 추가공급 수단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강원·충청·호남권 생산 전력을 확보하더라도 지역 주민의 수용성이 낮은 탓에 이를 끌어올 송·배전망 건설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국내 송·배전망 공급을 도맡은 한국전력공사는 최악의 재무위기 속 역대 최대 규모의 비용절감 계획을 확정한 상황이다.
산업부는 이에 지난 4월 지난해 11월부터 운영해 온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를 확대 개편한 전력망 혁신 전담반을 열어 1차 회의를 열어 호남·동해안 지역 생산 전력을 수도권으로 끌어오는 방안을 논의했다. 또 이달 초 이 같은 계획을 담은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확정했다. 여기엔 서해안~수도권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간망 구축 과정에서 민자 사업 확대를 검토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이번 2차 회의는 산업부 내 에너지 정책을 맡은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과 산업 정책을 맡은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이 공동 주재한 가운데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 관계기관 관계자, 이병준 고려대 교수, 박종배 건국대 교수 등 전문가가 참여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또 첨단산업에 필요한 대규모 전력 공급을 위한 최적의 전력 인프라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하고 대응책을 모색했다.
천영길 실장은 “연내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수요와 인근 전력계통 여건을 고려한 최적의 전력 공급 로드맵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차전지나 바이오 등 다른 첨단산업에 대해서도 전력 공급 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주영준 실장도 “반도체 클러스터는 그 동안 메모리에 집중했던 우리 반도체 경쟁력을 확장하기 위한 메가 프로젝트”라며 “전력 인프라 적기 구축 등 성공적인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필요한 지원사항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올 봄 추진한 계통안정화 대책 추진 실적도 점검했다. 호남·제주 지역은 태양광발전설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전력 수요가 줄어드는 봄 비수기 낮 시간대에 오히려 전력 과잉공급 우려가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태양광 발전사업자에게 전력 공급량을 안정시키기 위한 고성능 인버터 설치를 독려했고 9월까지 목표한 2783메가와트(㎿) 중 92%에 이르는 2549㎿에 대해선 성능 개선을 마쳤다. 이 결과 봄 대책기간 전력 과잉공급 우려에 따른 출력제어 일수가 2일로 최소화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