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창 문수사 대웅전은 전라도 지역 대표 문수도량인 문수사의 주불전(主佛殿)이다. 보물로 지정된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을 봉안하고 있는 건물이기도 하다.
고창 문수사는 644년(백제 의자왕 4년)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기록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문수사 창건기’(1758년)에 따르면 임진왜란 후 1607년(선조 40년)에 중창됐고, 1653년(효종 4년) 회적 성오화상에 의해 또 다시 고쳐지어졌다.
이듬해 1654년 제자인 상유가 삼불좌상과 시왕상 등을 조성한 기록으로 볼 때 문수사 대웅전 또한 이 시기에 중창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창이란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새롭게 짓는 것을 의미한다.
고창 문수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 형식으로 공포의 형태와 짜임에서 단순하면서도 강직한 조선 전기~중기에 이르는 양식과 지역적 특색이 나타난다. 지붕은 팔작지붕 형식을 갖추고 있었으나 후대에 맞배지붕으로 형태가 변화했다. 현재는 다포계 맞배지붕 기법과 양식을 갖추고 있다. 대웅전의 단청은 전통무기안료와 아교가 사용된 옛 기법이 남아 있어 학술적·역사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의성 고운사 가운루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인 고운사의 진입부에 자리해 있다. 계곡 위를 가로질러 건립된 사찰 누각 중 가장 큰 규모다.
의성 고운사는 의상대사에 의해 신라시대 때 창건된 사찰로 전해진다. 의성 고운사 가운루는 ‘고운사사적비’(1729년), ‘고운사사적비’(1918년) 등의 문헌사료를 통해 1668년에 건립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의성 고운사 가운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장방형 평면에 팔작지붕 형식을 갖춘 사찰 누각으로 조선 중·후기의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계곡의 양쪽 기슭(양안)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3쌍의 긴 기둥이 계곡 바닥에서 누각을 떠받치고 있으며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주칸)을 넓게 배치한 점 등이 기존의 사찰누각과는 달라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이번에 지정한 고창 문수사 대웅전과 의성 고운사 가운루가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