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전문가 "글로벌 공급망 차질·인플레가 가장 큰 문제"

최정희 기자I 2021.12.08 12:00:00

한은, 2021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
가장 큰 리스크 ''인플레이션과 높은 가계부채"
단기에 시스템 위기 충격 가능성 53%서 61%로 높아져
"가계부채 관리 강화하되 과도한 규제엔 신중해야"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이 올 하반기 금융시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1년 이내 단기에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폭발, 경제를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에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반년 전보다 높아졌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8일 한은에 따르면 한은이 지난 달 9일부터 22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금융전문가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들은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을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한은이 16개 대내 리스크 요인과 8개 대외 리스크 요인을 제시하면 금융전문가들이 이들 중 5개 요인을 순위별로 선정한 결과다. 한은은 2012년부터 연 2회에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를 실시한다.

(출처: 한국은행)
순위와 관계 없이 단순 응답 빈도수를 기준으로 취합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55%로 가장 높았고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이 53%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1순위 응답만 모아보더라도 인플레이션과 가계부채가 각각 20%로 가장 우려되는 부분으로 꼽혔다.

이런 리스크 요인이 발생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장기 시장금리 상승, 글로벌 자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은 대체로 1년 이내 단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꼽았다. 이중 발행 가능성이 높으면서 영향력이 가장 큰 리스크는 역시 인플레이션으로 조사됐다. 높은 가계부채 수준,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1~3년 중기에 현재화될 위험이 큰 것으로 꼽혔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단기 충격 발생 가능성이 보통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작년 하반기에 55%에서 올 상반기 53%로 낮아졌으나 이번엔 61%로 높아졌다. 중기 시계에서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보통 이상 응답 비중이 75%로 올 상반기(73%)와 유사했지만 ‘높음’ 비중만 놓고 보면 29%에서 36%로 커졌다.

그나마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해선 신뢰도가 높은 편이었다. 56%가 안정성이 높다고 응답했고 보통은 41%로 집계됐다. 낮다는 평가는 3%로 그쳤으나 작년 하반기, 올 상반기 1%였던 것에 비해선 낮다는 응답이 늘어났다.

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가계부채 관리, 코로나19 지원조치의 질서 있는 정상화, 부동산 시장 안정 도모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다만 가계부채에 대해선 안정적으로 관리하되 과도한 규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기관 스스로 차주의 채무상환 능력을 지속적으로 점검, 부실화 가능성에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지원 조치가 정상화될 경우 채무상환 부담이 늘어나고 경제 회복이 각 부문별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