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벤처캐피탈리스트 등 전문가 36명을 대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산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은 키워드가 도출됐다고 28일 밝혔다.
설문조사에서 전문가들은 바이오·헬스케어(원격진료 등) 분야가 가장 유망(31.9%)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교육·사무(19.4%), 인공지능(8.3%) 등이 유망하다고 답했다. 이는 해당 산업의 성장성(33.3%)과 산업구조 재편 영향(29.2%)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 예측한 결과다.
전경련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건강관리와 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실생활인 교육·사무 분야에서 온라인 개학이나 재택근무를 경험해보며 직접 체감한 기술력과 유망성이 설문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신산업 분야 경쟁력이 기술 선도국에 비해 떨어진다고 진단했다.
미국 등 기술 선도국 수준을 100으로 가정하고 한국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교통·모빌리티(59), 드론·로봇(61), 스마트팜(63), 인공지능(63)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네트워크(88), 교육·사무(81), 핀테크(81) 역시 선도국과는 격차가 있다고 봤다.
기술 선도국 대비 미흡하다고 평가하는 한국 신산업 분야의 문제점으로는 기초·원천기술 부족(34.7%)과 정부규제와의 충돌(19.5%) 등이 꼽혔다.
전문가들은 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으로는 관련 산업규제 개선(31.9%)이 가장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기초기술 연구개발 지원(23.6%), 전문 인력 양성 및 산·학·연 협력 확대(12.5%), 기업간 협업 지원(11.1%) 및 기존 산업 및 이해관계자 갈등 조정(11.1%), 신산업 관련 금융·조세 지원 확대(7.0%), 실증·시범사업 확대(2.8%) 순이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4차 산업혁명이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며 “선제적이고 폭넓은 규제개혁으로, 코로나19의 위기를 우리 산업의 체질혁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