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은 5월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외국 해양레저산업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요트 등 고부가가치 선박제조업과 새로운 관광산업 ‘바닷길’ 육성을 통해 해양레저산업을 키우자고 주장했다.
전경련은 “조선 강국인 우리나라는 우수한 인력, 생산 시설 등을 갖고 있어 고부가가치 선박제작에도 강점이 있을 뿐 아니라 지구둘레 3분의 1, 중국 41배(국토면적 대비) 길이의 해안선을 갖고 있어 해양관광 환경도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레저선박 제조 과정은 가공, 용접, 페인트 등의 생산 공정이 일반 선박을 만드는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전환 교육만 실시하면 조선분야의 우수 인력들을 레저선박 제조분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국내 대부분의 중소형 조선소는 강선(steel ship)을 생산하고 있는데, 강선 제조시설의 핵심인 선대, 도크 등은 대형요트를 제작하고 수리하는 설비로 활용이 가능해 유휴 생산설비도 전환해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긴 해안선과 3면의 바다도 해양레저산업의 중요한 자원이다. 동해, 남해, 서해 등 연안별 특색이 달라서 다양한 해양레저 코스를 만들 수 있다.
전경련은 이탈리아의 쇠락한 중형 조선소가 레저선박 제조단지로 재도약한 사례를 제시했다. 이탈리아 비아레지오(Viareggio) 지역은 일반 선박 생산업체 세크(SEC)가 2002년 도산한 후 베네티(Benetti) 등 12개 요트업체가 이를 인수해 일반 선박용 조선소와 유휴 항만시설을 레저선박 제조용으로 전환했다.
이후 30여개의 레저선박 제조업체와 약 1000개의 부품생산업체가 밀집한 클러스터가 형성됐고, 전세계 슈퍼요트의 약 22%를 생산하는 레저선박제조 중심지가 됐다. 제조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변경, 선체 수리·보수, 부품 교체 등 수리·유지보수 물량을 세계 각국에서 유치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국가가 전략적으로 레저선박 제조업을 육성해 유럽, 미국, 호주 등에 요트를 공급하는 국가로 성장했다. 남아공 정부는 2001년 관련 협회(SABBEX)를 설립하고, 인력, 기술, 자본 등을 적극 지원해왔다. 인력 확보를 위해 숙련공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했고, 기술을 전수받기 위해 뉴질랜드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또한 자국 수출 및 생산 실적을 쌓기 위해 구매자들에게 국가 차원에서 재정보증을 하고, 외국의 유명 업체의 지사와 공장을 유치했다.
그 결과 20여년 전 레저선박 제조업 불모지에서 전세계 멀티헐의 30%(’13년 기준, 세계 2위 점유율)를 생산하는 국가로 도약했다.
전경련은 카누, 요트 등 해양레저코스를 편도로 연결한 ‘바닷길’을 조성하자고 제언하며, 뉴질랜드 사례를 소개했다. 뉴질랜드 남섬의 아벨 타스만(Abel Tasman) 국립공원에는 요트, 카약, 수상택시 등을 갈아타며 해양레저를 즐길 수 있는 바닷길이 있다. 제주도 해안선 길이(258km)의 약 5분의 1 구간(54.3km)에 약 15가지 투어코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레저기구를 대여해 편도로 이용하고 다른 곳에서 반납할 수 있어 같은 장소를 왕복하지 않아도 된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외국 사례의 벤치마킹을 통해 우리가 가진 조선산업 경쟁력을 해양레저산업 활성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면서 “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우수한 해양 환경과 조선 기술을 적극 활용해 미래 성장동력인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