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통합의 고리인 ‘무공천’으로 구청장·구의원의 선거판에 비상등이 켜지면서, 박 시장이 당선되더라도 이전과 같은 수월한 시정(市政)은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박 시장이 2년동안 조용하면서도 수월하게 시정을 운영할 수 있는 배경에는 기초단위에서의 탄탄한 지지기반이 있었기 때문이다.
|
대표적인 사례가 박 시장과 은평구가 주민참여 예산제, 두꺼비하우징 사업, 마을공동체 사업 등에서 호흡을 척척 맞추는 ‘파트너십’을 선보인 것이다. 김우영 은평구청장은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이미경 의원의 정책보좌관을 지낸 민주당 측 인사이기도 하다. 이 같은 시장-구청장의 파트너십은 2여년만에 박 시장의 공약이행률을 80.3%(시민단체 법률소비자연맹 추산)까지 끌어올리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기초선거 무공천으로 민주당의 상징이었던 기호 2번이 없어지고 야권 후보가 난립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서울시의 여소야대가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 기초선거 공천방침을 정한 정의당과 통합진보당이 이 기회에 기초단위의 의석수를 확보하려고 나서는 것 역시 통합신당으로서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노골적인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구청장은 “공약을 지킨 사람이 오히려 불리한 형태에 취한다는 것은 불합리한 일”이라며 “오랫동안 준비했던 전략은 다 무너지고 주위 사람들과의 눈치싸움만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통합신당이 후보자들끼리 단일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일종의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김성환 노원구청장은 “약속을 지키는 정치라는 명목으로 무공천을 선택한 만큼 국민에게 이 사실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며 “현역 민주당 소속 구청장들끼리 함께 행보를 맞춰 탈당을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핵심 의원은 “당장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통합신당이 승리한다고 하더라도 기초단위에서 의석수를 많이 뺏기면 향후 이어지는 총선·대선에서 야당이 훨씬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다”며 “긴 흐름을 보고 이번 선거에서 기초선거의 대책을 서둘러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