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사례1. 얼마전 스마트폰을 구입한 직장인 J씨. 한달 뒤 집으로 온 요금청구서를 봐도 자신의 요금이 왜 이렇게 나왔는지를 선뜻 이해할 수 없었다. 할인액부가세, 프로모션 할인 등 알송달송한 단어들이 나열돼 있는데다, 부가서비스 사용 내역까지 복잡하게 얽혀 있어 결국 요금 합계금액만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사례2. 한국 남자와 결혼한 베트남인 B씨에게는 통신사 청구서가 난수표처럼 느껴진다. 화려한 그래프와 숫자가 뒤엉켜 있지만 정작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는 알쏭달쏭하다. 매달 휴대폰 요금으로 통장에서 몇 만원씩 따박따박 빠져 나가지만, 어떤 용도로 사용됐는지는 몰라 청구서를 받아 볼 때마다 화가 난다.
내용이 복잡하고 이해하기도 어려웠던 통신사 요금청구서가 소비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12일 생활표준화 추진협의회 의결을 거쳐 통신사별 요금 청구서 체계, 전동휠체어, 실내소음 측정방법 등 7개를 올해 표준화 추진대상 과제로 선정했다.
통신사 요금청구서는 내용이 어렵고 회사별로 제공되는 내용도 달라 소비자들이 내용을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앞으로는 요금 청구서에 오류가 있을 경우 소비자 보상 기준을 적시하고, 내용이 불분명하고 어려운 용어의 뜻을 명확히 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현재 국제적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이를 참고할 예정이며, 표준안은 이르면 내년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통신요금 청구서 등 3종은 국제표준을 활용하여 표준화를 추진하고, 나머지 과제는 관련업계, 소비자 단체, 민간전문가와 정부 관계자가 공동으로 참여해 표준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지경부 기표원 관계자는 "요금청구서를 보낼 때 꼭 담아야 할 내용을 포함하도록 업체에 권장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특히 다문화 가정이 늘고 있는데, 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신사에서도 이를 활용할 경우 고객만족도 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열린 생활표준 협의회에서는 프린터 카트리지의 표준화 등 256개의 국민제안 과제 가운데 일부를 올해 표준화 검토과제로 선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