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4일 대만 주식 시장은 청명절 연휴로 휴장했다. 즉, 지난 2일 발표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아직 반영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이날 대만 증권거래소는 과도한 하락이 있을 경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금융 규제 기관과 협력하여 더 많은 정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대만 금융감독위원회는 “(트럼프 행정부의)관세 정책은 대만 자본 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여러 가지 주요 불확실성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면서 공매도 제한 강화 등 임시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공매도가 가능한 주식 수가 제한되며 공매도에 대한 최소 증거금 비율이 종전 90%에서 130%로 인상된다. 공매도 임시 제한 기간은 7일부터 11일까지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주식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전 세계 증시가 폭락했다. 뉴욕증시의 경우 지난 3~4일 이틀간 대형주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S&P 500) 지수가 10.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11.4% 하락했다. 이틀간 증발한 시가총액만 5조 4000억 달러(약 7900조원)에 달한다.
대만 금융 당국은 글로벌 및 국내 자본 시장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적시에” 조치를 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의 증권선물국 카오 칭핑 부국장은 로이터에 “새로운 규정은 투기적 공매도는 환영받지 못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도입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국가별 상호 관세율에 따르면 대만은 32% 관세율이 부과됐다. 이밖에도 △한국 25%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일본 24% △인도 26%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