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차 150bp로 축소…한은, 금리 또 내릴까

하상렬 기자I 2024.11.08 07:06:03

美 11월 FOMC서 정책금리 25bp 인하
파월 "12월 인하, 배제·찬성 않는다"
12월 25bp 인하 가능성 74.5%로 상승
성장 우려 커진 韓…11월 금통위 결정은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9월에 이어 이달에도 정책금리를 인하하며 한미 금리 역전폭이 다시 150bp(1bp=0.01%포인트)로 좁혀졌다.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무게추’가 금융안정에서 성장으로 옮겨진 가운데,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지 주목된다.

◇美 추가 금리 인하 단행

연준은 6~7일(현지시간) 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정책금리를 기존보다 25bp 인하한 4.50~4.75%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연준은 성명서에서 “최근 경제 활동은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되고 있다”며 “올초부터 고용시장 상황은 전반적으로 완화했고 실업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은 위원회 목표치인 2%를 향해 진전을 이뤘지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위원회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대한 리스크가 ‘대략’(roughly)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성명에서는 ‘빅컷’(금리 50bp 인하)을 단행했던 지난 9월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2% 목표치를 향해 지속가능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더 큰 확신(greater confidence)을 얻었다’고 한 표현이 빠졌다.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커져 금리 인하의 속도 조절에 나섰다는 셈이다. 연준은 “경제 전망은 불확실하며 위원회는 이중 책무의 양 측면에 대한 위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도 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전반적으로 우리는 경제 활동에 대해 좋은 느낌을 받고 있다”면서도 “(9월 FOMC) 이후) 나온 인플레이션 보고서가 나쁘진 않았지만, 예상보다 조금 높았다”고 평가했다.

파월 의장은 다음달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최근 경제는 견고한 확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면서도 “12월 금리 인하를 배제하지도 찬성하지도 않는다(out or in)”고 말했다. 그러면서 “12월 FOMC까지 고용보고서 한건, 인플레이션 보고서 두건이 나온다”며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12월에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준은 지난 9월 회의 결과 내놓은 점도표에서 연말 금리 전망치(중간값)를 기존 5.1%에서 4.4%로 낮춰 연내 50bp 추가 인하를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선 이달과 다음달 25bp씩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시장은 기자회견 이후 12월 25bp 인하 가능성을 높여 잡았다. 현재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패드워치 툴에서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의 12월 25bp 인하 가능성은 74.5%로 전날(69.9%)보다 높아졌다. 동결 가능성은 29.5%에서 25.5%로 낮아졌다.

8일 기준 한미 금리차 추이.(자료=한국은행)


◇한은, 이달 추가 금리 인하?

연준의 추가로 정책금리를 인하하면서 한국은행도 이달 28일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가능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5명이 지난달 금통위 당시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란 의견을 냈지만, 최근 3분기 성장률 ‘쇼크’로 내수 부진과 성장 경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추가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단 주장이다.

금통위는 지난 7월과 8월 수도권 집값 상승세와 이와 연동한 가계부채 확대를 근거로 금리를 동결했다. 지난달 금통위 결정에서도 ‘금융안정’ 측면의 경계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는 가계부채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는 추가 데이터가 제공된다면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로 추가 금리 인하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일단 한은은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로 가계부채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달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 상승세는 추가 변수로 꼽힌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로 환율은 1400원을 넘기도 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5일 미국에서 가진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환율이 지금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는 굉장히 높게 올라 있고 상승 속도도 크다”며 “지난번(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는 고려 요인이 아니었던 환율도 다시 고려 요인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9일 종합 국정감사에선 이달 금리결정에 대해 “수출 성장률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내년 경제 전망을 어떻게 할 것이냐가 굉장히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고 미국 대선 이후 달러 강세가 어떻게 될 것인지, 지난달부터 시작한 거시안정성 정책이 부동산과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될지를 종합적으로 보고 결정하겠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