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실제로 이들 병원 중 신속항원검사와 PCR검사를 모두 받을 수 있는 곳은 77곳에 불과했다. PCR검사는 좀 더 깊숙이 면봉을 넣다 보니 신속항원검사보다 비말 유발 가능성이 높아 검사시설의 좀 더 엄격한 분리가 필요하다. 여기에 PCR검사는 결과가 바로 나오지도 않아 검체를 취합한 뒤 양성 판정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추가 작업 신청 등 업무 부담도 커 참여 신청을 선택하지 않는 의료 기관이 많다. 재택치료까지 지원하는 병원은 더욱 줄어들어 구로·동대문·노원·서초·중랑구 54개소가 전부였다. 결국 시민들 입장에서는 동네 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양성 판정이 나오면 다시 보건소를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다.
또 추가로 참여할 동네 병·의원을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정부의 방역·의료체계에 일반 환자들과의 동선 등 신경 쓸 것들이 많기 때문에 동네 병·의원에서 참여 자체를 망설이고 있는 분위기기 때문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서울시 재택치료 모델부터 오미크론 대응 체계 등 새로운 모델이 자꾸 나오는데 작은 병·의원에서 이를 일일이 신경 쓸 여력이 안 된다”며 “대응 체계가 좀 더 정착되면 참여를 하려고 보류 중인 곳이 많다”고 말했다. 서울 서대문에서 가정의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한 의사는 “좁은 공간에서 일반 환자랑 확진자가 함께 있으면서 코로나19를 전파할지 모르는 우려가 있다”며 “특히 가정의학과는 코로나19 집중관리군인 노인분들이나 기저질환자가 많기 때문에 더욱 조심스럽다. 일부 환자들은 2달치 약을 미리 처방해달라는 얘기까지 한다”고 말했다.
또 신속항원키트나 보호장비 등도 참여 의료기관에서 각자 구입해야 하는 방식이어서 이를 구하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검사비용도 5000원부터 많게는 몇만원까지 제각각인 등 혼란스러운 상황도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 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할 위험이 있고, 의료체계가 마비될 수도 있는 만큼 전문가들은 체계적인 동네 병·의원 참여 시스템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코로나19 진료에 필요한 물품 지원 및 명확한 진료 지침 등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코로나19 진료 및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